본문 바로가기

지적장애15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발달론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 1. 발달론적 접근 발달론적 접근은 지적장애 아동의 발달도 일반아동의 발달 단계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지적장애 아동 개인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 내용은 단계를 고려해 계열적 순서대로 구성해 교육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생활연령에 적합한 기능적 기술보다는 각 발달 단계에 필수적인 기술을 가르쳐 다음 발달 단계를 촉진하는 상향식 접근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달 단계를 따르는 교육 방법의 경우 준비성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준비성 함정이란 이전 단계를 완료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단계별로 교육하는 발달론적 접근에서 나타나기 쉽다. 2. 생태학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은 학생과 환경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학생을 둘러.. 2017. 11. 26.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정서적 특성 지적장애 아동은 여러 환경에서 잦은 실패를 경험하고 자존감이 낮기 때문에 일반 아동과 다른 심리 정서적 특성을 보이게 된다. 다음은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정서적으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1. 긍정적 반응 경향성 긍정적 반응 경향성을 가진 지적장애 아동은 자신에게 지원이나 강화를 제공하는 대상에게 과하게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사회적으로 박탈감을 많이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타인에게 의존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생기기 때문이다. 2. 부정적 반응 경향성 부정적 반응 경향성을 가진 지적장애 아동은 타인과 관계를 맺는데 있어서 강하게 신중하거나 꺼려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타인과 상호작용 하는데 강하게 경계하는 모습을 보이게 되며 이는 사회적 위축으.. 2017. 11. 25.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일반화 특성 일반화란 새로운 방법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지적장애 아동은 자극 일반화, 반응 일반화, 유지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다음은 일반화에 대한 내용이다. 1. 자극 일반화 자극 일반화란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새로운 자극에서 반응하는 것으로 유형에는 장소에 대한 일반화, 사람에 대한 일반화, 사물에 대한 일반화가 있다. 첫째, 장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운 환경이나 장소가 아닌 조건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 사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사물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울 때 사용한 자료가 아닌 다른 자료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 2017. 11. 24.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기억) 1. 기억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을 알기 위해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은 위의 그림과 같으며 각각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기억이란 환경에서 전해진 자극을 정리해 의미를 파악하고 단기기억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때 단기기억으로 보낼지 결정하는 일을 지각과 주의가 하게된다. 둘째, 단기기억이란 정보를 단시간 보유하는 것으로 그 시간은 몇 초에서 몇 분 정도이다. 일반 아동의 경우 7±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지만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4±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다. 셋째, 작동기억이란 단기기억이나 장기기억에 있는 정보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억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습할 때 전략을 사용해 암기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작.. 2017.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