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폐스펙트럼장애2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실행기능, 중앙응집이론) 1. 실행기능 실행기능이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떠한 전략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적용 해야하는지 알고 적용하는 상위 인지 기능이다. 실행기능은 한 가지 행동에서 다른 행동으로 유연하게 옮겨가게 해준다. 자폐 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이것이 결여돼 행동이 환경의 통제를 받아 자극에 따라 반응하게 돼 무의미한 행동을 하게 된다. 실행기능이 있는 아동의 경우 목표에 완료하기 위해 주어진 행동을 하고 자신의 행동을 점검하고 다음 행동으로 유연하게 넘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실행기능이 없기 때문에 행동에서 행동으로 유연하게 넘어가지 못하고 자극에 따라 반응하는 즉흥적인 반응을 보인다. 즉흥적 반응은 충동적 행동으로 나타난다. 2. 중앙응집이론 중앙응집이론이란 부분적인 정보를 처리해서.. 2017. 10. 1.
[자폐스펙트럼장애] 인지적 원인(마음이해 능력) 마음이해 능력이란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 사고, 의도를 아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조망 수행능력이라고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경우 마음맹이라는 인지적 결함 때문에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마음이해 능력은 1차 마음이해 능력과 2차 마음이해 능력으로 나눌 수 있다. 1차 마음이해 능력의 경우 3 ~ 4세 정도에 나타나는데 다른 사람이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이다. 2차 마음이해 능력의 경우 6세 정도에 나타나는데 다른 사람이 다른 사람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이해하는 능력이다. 마음이해 능력의 대표적인 검사로는 Sally-Anne Test가 있다. Sally 와 Anne 은 각각 바구니와 상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Sally 는 공을 자신의 바구니에 넣고.. 2017.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