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Special Edu/통합교육7 [통합교육] 협동학습(또래교수) 1. 또래교수의 개념 또래교수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일반학급에서 특수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우수한 학생을 특수학생과 짝지어서 보충 설명과 피드백을 받게 하는 방법이다. 또래교수의 장점은 또래 교수자가 옆에서 바로바로 피드백 해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업 성취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또래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서로간에 긍정적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학업 성취와 사회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래교수를 적용할 때 교사는 총 감독자로서의 역할을 해야한다. 또래교사에게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위임하면 안된다. 2. 또래교수의 유형 또래교수는 그 방법에 따라 학급 전체 또래교수(CWPT), 학급 전체 또래교수 팀(CSTT), .. 2016. 11. 29.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1. 팀 경쟁학습, 팀 게임 토너먼트(TGT) 팀 경쟁학습은 수업을 게임처럼 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아동에게 성공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 팀 경쟁학습의 절차는 설명 → 모둠학습 → 토너먼트 게임 → 팀 점수 게시 및 보상이다. 팀 경쟁학습의 특징은 모든 교과에 쉽게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단순암기, 훈련적 교수가 필요한 교과에 효과적이며 매주 최우수 팀을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게임점수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점수계산에만(외적동기) 치우친 나머지 내적동기를 잃을 수 있다. 2. 팀 보조 개별학습(TAI) 팀 보조 개별학습은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혼합된 모형으로 집단의 구성은 STAD와 같지만 집단이 같은 내용을 배우진 않는 방법이다. 팀 보조 개별학습의 절차는 배치검.. 2016. 11. 29.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1.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자율적 협동학습은 한 학급의 전체 과제를 여러 모둠으로 구성된 학급 전체가 협동해서 해결하는 방법이다. 전체 과제에 대해 학생들은 토론을 통해 학생이 학습하고 싶은 소주제별로 모둠을 만들고 모둠 내에서 미니주제로 나눠 개인이 학습하게 된다. 자율적 협동학습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학습주제 소개 → 학생 중심 학급 토론 → 모둠 구성을 위한 소주제 선택 → 소주제별 모둠 구성 → 소주제 정교화 → 미니 주제의 선택과 분업 → 개별 학습 준비 → 모둠 내 미니 주제 발표 → 모둠별 발표 준비 → 모둠별 학급 발표 → 평가 및 반성 자율적 협동학습의 특징은 모둠별 한가지 주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학급 전체가 한가지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동한다는 것이다. 2. 집.. 2016. 11. 28.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1. 팀성취 분담 학습(STAD) 팀 성취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팀을 구성한 후 과제는 함께 학습하고 퀴즈는 따로 보는 방법으로 팀으로 학습하고 개별로 시험을 치는 방법이다. 보상을 위한 시험 점수는 개인별 향상 점수를 사용하는데 향상점수란 개인이 이전 차시에 받은 점수와 본 차시에 받은 점수를 비교하여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팀 성취 분담 학습의 특징은 학생들의 완전 학습을 위해 수준별 과제가 아닌 동일한 과제가 주어지고 개인별 향상 점수를 이용하여 팀 점수를 산출하여 집단으로 보상 받게 된다. 2. 과제 분담 학습(JIGSAW) 과제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자신이 맡을 주제를 정하게 된다. 자신이 맡은 부분에 대해 서로 다른 그룹에서 같은 주제를 정한 학생들이 모.. 2016. 11.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