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지적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발달론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

by drumchoa 2017. 11. 26.
반응형
1. 발달론적 접근
 발달론적 접근은 지적장애 아동의 발달도 일반아동의 발달 단계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지적장애 아동 개인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교육 내용은 단계를 고려해 계열적 순서대로 구성해 교육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생활연령에 적합한 기능적 기술보다는 각 발달 단계에 필수적인 기술을 가르쳐 다음 발달 단계를 촉진하는 상향식 접근법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달 단계를 따르는 교육 방법의 경우 준비성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준비성 함정이란 이전 단계를 완료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단계별로 교육하는 발달론적 접근에서 나타나기 쉽다.

2. 생태학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은 학생과 환경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두고 학생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을 고려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즉, 학생의 현재, 가까운 미래 상황에서 환경에 적응해 살아갈 수 있도록 기능적이고 의미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생태학적 접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전제기술을 요구하지 않는다.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전제기술보다는 현재 아동에게 필요한지를 먼저 고려하기 때문이다.
 둘째, 중도장애 학생에게 실제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아동의 일반화 능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기능적이고 생활연령에 적합한 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교육하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직접 경험하게 하기 때문이다.
 넷째, 아동에 대한 인식 개선과 상호작용 기회, 지역사회 접근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반 아동과 동일한 활동에 참여하고 지역사회 환경에서 직접 교수하기 때문이다.

 앞의 글에서 발달론과 차이론에서 설명 했듯이 무엇이 맞고 무엇이 아니다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아동의 능력과 특성에 따라 도움이 되는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발달론과 차이론에 대해 설명한 글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