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어 습득 이론2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생득주의 이론) 1. 생득주의 이론이란 생득주의에서는 인간의 언어 습득은 후천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2. 언어습득장치(LAD) 언어습득장치란 위의 정의에서 말한 인간의 타고난 능력을 말한다. 즉 인간은 언어습득장치를 갖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최소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면 언어의 습득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득주의 이론에서 언어습득장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모든 언어의 심층구조는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구조는 언어습득장치에 의해 표층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심층구조는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표층구조란 생각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유아의 경우 언어적 경험이 많지 않지만 언어와 문법을 습득하고 무.. 2017. 12. 12.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행동주의) 행동주의 학자는 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의 많은 학자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언어 습득을 위해 영향력 있는 연구를 한 사람은 스키너이다. 다음은 스키너의 언어 습득 유형이다. 1. 맨드 맨드는 아동이 요구하고 그 요구가 충족되면 해당 언어 행동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배고파’ 라는 말로 자신의 배고픔이 해결돼 자연스러운 강화가 나타났다면 이를 맨드라고 한다. 즉 맨드는 자연스러운 강화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언어 습득시 가장 먼저 사용된다. 2. 택트 택트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이름을 붙이는 기능을 하는 언어반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대상을 보고 그 대상의 명칭을 유사하게 말했는데 강화가 주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보고 ‘팝, 팝’ 이라고 얘기했..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