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기억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을 알기 위해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은 위의 그림과 같으며 각각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기억이란 환경에서 전해진 자극을 정리해 의미를 파악하고 단기기억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때 단기기억으로 보낼지 결정하는 일을 지각과 주의가 하게된다.
둘째, 단기기억이란 정보를 단시간 보유하는 것으로 그 시간은 몇 초에서 몇 분 정도이다. 일반 아동의 경우 7±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지만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4±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다.
셋째, 작동기억이란 단기기억이나 장기기억에 있는 정보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억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습할 때 전략을 사용해 암기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작동기억이라고 한다.
넷째, 장기기억이란 정보를 장기간 보유하는 것으로 장기기억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망각하게 되지만 다시 회상할 수 있는 기억이다.
다섯째, 초인지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하고 효율적인지 점검하고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에 적절한 교수를 하기 위해서는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에 대해 알고 있어야 적절한 방법으로 교수할 수 있다.
지적장애 아동의 장기기억은 일반 아동과 차이가 없다. 하지만 단기기억 속에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시연하고 조직화 하는 능력이나 장기기억에서 자료를 회상하기 위한 조직화 능력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즉, 초인지 전략의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연이란 나중에 회상하기 위해 미리 해보는 것이다. 반복해서 눈으로 보거나 말로해보는 것이다.
둘째, 조직화란 주어진 정보를 의미 있는 단위로 묶어서 기억하는 것이다.
셋째, 부호화란 나중에 기억하기 쉬운 방법으로 변화를 주는 것이다.
넷째, 정교화란 기억해야할 정보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거나 다른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정서적 특성 (0) | 2017.11.25 |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일반화 특성 (0) | 2017.11.24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특성(주의특성) (0) | 2017.11.18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인지발달) (0) | 2017.11.18 |
[지적장애] 지적장애의 원인 - 생물학적 요인 (0) | 2016.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