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구조4 [시각장애] 눈의 구조에 따른 시각장애의 원인(안 내용물) 1. 백내장 백내장의 원인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뉜다. 선천성의 경우 1/3은 유전성이지만 나머지의 경우 그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 없다. 후천성의 경우 노인성과 외상이나 타박상으로 인한 외상성이 있다. 백내장의 증상은 대부분 정지성이고 한쪽 눈이나 양쪽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마치 안개낀 것 같게 보이게 된다. 수정체의 혼탁은 중심부에 나타날 수도 있고 가장자리에 나타날 수도 있다. 백내장 학생은 백내장의 위치, 크기, 정도에 따라 적절한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수정체 중심부에 혼탁이 있다면 추체는 손상되고 간체는 정상이이 때문에 주로 간체를 이용해서 보게 된다. 이때 조명은 낮은 조명을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수정체 가장자리에 혼탁이 있다면 추체는 정상이고 간체에 손상이 있기 때문에 추체를 이.. 2016. 10. 16. [시각장애] 눈의 구조에 따른 시각장애의 원인(내막) 1. 당뇨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은 당뇨병에 의해 나타나며 시력저하와 합병증으로 녹내장이 될 수 있고 망막박리를 함께 일으킬 수 있다. 당뇨망막병증의 학생은 당뇨조절치료를 위해 인슐린을 맞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감각이 둔해질 수 있다. 그래서 당뇨망막병증의 학생은 촉각을 이용한 교육보단 청각을 이용한 교육이 더욱 효과적이다. 2. 미숙아 망막증 미숙아 망막증의 원인은 조산이다. 미숙아로 태어나 인큐베이터에서 고농도 산소공급을 받다가 인큐베이터 밖으로 나왔을 때 산소농도의 변화가 비정상적으로 혈관을 성장 시키고 이때에 눈의 조직에 상흔을 남김으로서 작은 충격에도 망막박리가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은 근시, 녹내장, 망막박리, 안구진탕, 전맹까지 나타날 수 있다. 미숙아 망막증의 학생은 망막박리의 가능성이 있기 때.. 2016. 10. 16. [시각장애] 눈의 구조에 따른 시각장애의 원인(외막, 중막) 1. 각막염 각막염의 원인은 대게 세균이나 바이러스, 상처부위의 병원균 침입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각막염은 치료가 가능하지만 백색 혼탁이 남을 가능성이 있고 만약 치료 받지 않고 방치하면 각막궤양으로 발전하게 되고 눈 전체에 염증이 발생하며 실명까지 될 수 있다. 2. 각막외상 각막외상은 상해, 타박상, 이물질, 화상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증상과 정도가 외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 원추각막 원추각막의 원인은 열성유전에 의한 것으로 각막 중심부가 서서히 얇아져 원뿔 모양으로 앞으로 돌출하는 진행성이다. 방치하게 되면 반흔이 발생하고 각막파열 심하면 실명까지 될 수 있다. 증상은 심한 난시나 원시가 나타나고 빛 조절이 어렵게 된다. 망막색소변성, 무홍채증, 마르팡증후군 등이 수반되.. 2016. 10. 16. [시각장애] 안구의 구조 시력은 물체의 존재 및 형태를 인식하는 능력으로서 안구가 담당하고 있다. ※ 그림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안구의 주요 부분은 위치에 역할에 따라 외막, 중막, 내막, 안 내용물로 나눠저 있다. 먼저 안구 주요 부분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외막 외막은 각막과 공막으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각막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구를 보호하는 역할과 광선을 굴절시켜 망막에 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공막은 안구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안근으로 인해 안구 운동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중막 중막은 홍채, 모양체, 맥락막으로 나눠어져 있다. 첫째, 홍채는 중막의 가장 앞부분에 있으며 홍채의 가운데에는 동공이 있다. 동공은 빛의 양에 따라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모양체는 근섬.. 2016. 10.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