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8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벌) 1. 벌의 정의 및 장단점 벌은 어떠한 행동 뒤 후속결과를 조절함으로서 그 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벌은 신속하게 그 행동을 중단 시킬 수 있지만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고 효과가 일시적이라 일반화가 어려울 수 있다. 벌을 사용할 때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첫째, 안전하고 인간적으로 중재 받을 권리 둘째, 최소 강제 대안의 원칙에 의해 중재 받을 권리 셋째, 효과적인 중재를 받을 권리가 있다. 2. 정적벌 정적벌은 표적행동을 보이면 어떤 자극을 제공 함으로서 표적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중단 시키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정적벌은 반응가로막기, 과잉교정이 있다. 첫째, 반응가로막기란 문제행동이 시작되면 즉시 물리적으로 개입하여 반응을 저지해 완결을 가로 막는 것을 말한.. 2016. 12. 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소거) 1. 소거의 정의 및 장단점 소거는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강화요인을 제거하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소거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제거하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오래 지속된다. 하지만 소거저항, 소거폭발, 자발적 회복 등의 저항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환경을 완벽하게 통제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일반화하기가 어렵게 된다. 2. 저항 소거는 소거저항, 소거폭발, 자발적 회복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저항이라고 한다. 첫째, 소거저항은 행동에 대한 강화가 중단될 때 나타나는 표적행동의 횟수가 증가 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소거폭발은 소거과정 동안 강화되지 않은 행동이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것으로서 이때 행동의 빈도, 지속시간, 강도 등이 증가하게 된다. 표적행동이 증가하는 것 외에 보이지 .. 2016. 12. 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차별강화) 1. 차별강화의 정의 차별강화란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서 아동이 잘 못하는 것에 대해 강화를 제거하거나 혐오스런 자극을 주지 않음으로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좋아질 수 있고 일반화하기가 쉽다. 2. 차별강화의 유형 차별강화에는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DRL), 다른 행동 차별강화(DRO), 대체 행동 차별강화(DRA), 상반행동 차별강화(DRI)가 있다. 첫째,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는 표적행동이 문제가 있기보단 행동의 발생빈도가 너무 높아서 문제가 될 때 그 행동이 기준치 만큼 감소되면 강화하는 방법으로 전체 회기 동안 발생한 표적행동의 비율이 기준치보다 낮을 때 강화하는 전체회기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와 한 회기를 같은 간격으로 나누고 각 간격동안 발생한 표적행동.. 2016. 12. 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토큰경제, 행동계약) 1. 토큰경제 토큰경제란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 강화물과 교환할 수 있는 토큰을 제공함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토큰경제의 장점은 바람직한 행동 후 즉시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최대치의 제한이 없어 많은 양을 제공하더라도 강화포만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강화포만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토큰을 이용해서 다양한 강화제와 교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큰경제의 문제점은 토큰을 많이 모은 후 부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음으로 토큰의 사용 기한을 정해서 빨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행동계약 행동계약이란 아동이 목표를 달성 했을 때 주어지는 강화에 대해 교사와 아동이 서로 동의한 내용에 대해 문서로 만든 것이다. 행동계약에 들어가야 할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기본적으로 계.. 2016.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