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음음운장애 전통적 접근법2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2 1편에서는 전통적 접근법에서 청지각 훈련법, 조음점 지시법, 운동 감각적 기법, 다중음소 접근법을 다뤘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접근법과 짝 자극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접근법 접근법은 목표음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때 유사한 중간 단계 발음에도 강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목표음소를 조음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동형성기법을 활용한 방법으로 목표에 가까워지도록 유사한 음에 대해 칭찬을 통한 강화를 제공해 목표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2. 짝 자극법 짝 자극법은 핵심단어와 훈련단어를 짝 지어 핵심단어에서 훈련단어로 전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핵심단어는 10번 중 9번 정조음할 수 있는 낱말이고 훈련단어는 핵심단어와 짝지어서 훈련 시키는 단어로서 3번 중 2번은 오조음.. 2017. 12. 26.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1 조음음운장애의 치료에는 전통적 접근과 언어인지적 접근이 있다. 전자는 오류 음소를 하나하나 교정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잘못된 오류 패턴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전통적 방법은 음소 습득, 확립, 전이, 유지의 단계를 따르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청지각 훈련법 청지각 훈련법은 청각적 변별훈련을 실시한다. 청각적 변별훈련은 아동 자신의 오류 발음을 인식하고 목표 음소를 다른 음소와 변별하는 훈련방법이다. 쉽게 말해서 아동이 어떻게 조음 하는지 잘 듣지 못하기 대문에 듣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훈련은 집중적인 듣기에서부터 귀 훈련, 개별 음소, 단어 / 문장으로 점차 넓혀가며 체계적으로 훈련을 한다. 2. 조음점 지시법 조음점 지시법은 수동적 방법으로 조음이 일어나는 위치를 직.. 2017. 1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