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86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일반화 특성 일반화란 새로운 방법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지적장애 아동은 자극 일반화, 반응 일반화, 유지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다음은 일반화에 대한 내용이다. 1. 자극 일반화 자극 일반화란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새로운 자극에서 반응하는 것으로 유형에는 장소에 대한 일반화, 사람에 대한 일반화, 사물에 대한 일반화가 있다. 첫째, 장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운 환경이나 장소가 아닌 조건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 사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사물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울 때 사용한 자료가 아닌 다른 자료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 2017. 11. 24.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기억) 1. 기억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을 알기 위해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이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의 정보처리과정은 위의 그림과 같으며 각각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기억이란 환경에서 전해진 자극을 정리해 의미를 파악하고 단기기억으로 보내는 것이다. 이때 단기기억으로 보낼지 결정하는 일을 지각과 주의가 하게된다. 둘째, 단기기억이란 정보를 단시간 보유하는 것으로 그 시간은 몇 초에서 몇 분 정도이다. 일반 아동의 경우 7±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지만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4±2개의 단어를 기억할 수 있다. 셋째, 작동기억이란 단기기억이나 장기기억에 있는 정보를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억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학습할 때 전략을 사용해 암기하고 인출하는 과정을 작.. 2017. 11. 21.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특성(주의특성) 1. 주의란?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주의 특성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이러한 주의 특성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단기기억의 어려움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특히 주의는 학습에 많은 영향을 주며 이러한 주의는 선택적 주의집중, 주의 유지, 주의 초점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주의로 나타나게 된다. 선택적 주의집중, 주의 유지, 주의 초점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적 주의집중은 여러가지 자극 중 필요한 자극만 선택해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둘째, 주의 유지는 선택한 자극만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지속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주의 초점은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가 넘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2. 주의 집중이 어려운 아동을 위한 지도 방법 주의 집중이 어려운 아동은 자극의 .. 2017. 11. 18.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인지발달) 1. 발달론 발달론적 특성은 발달의 지체를 의미한다. 즉, 일반 아동과 같은 같은 순서, 과정을 거치지만 발달의 속도가 느리다고 보는 관점이다. 발달론의 경우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 대해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궁극적인 기능 수준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을 수 있어도 발달 순서와 과정은 일반 아동을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것은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내용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주로 발달연령, 정신연령을 고려해 반복 학습을 주로 하게 된다. 반복 학습의 주된 내용은 학생의 생활에서 지금 즉시 필요한 것이 아닌 일반 아동과 동일한 과정이지만 조금 더 낮은 수준의 내용 즉, 아동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가르치게 된다. 이것은 발달론적 특.. 2017. 11. 18.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