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86

[정서행동장애] 훈육 훈육이란 통제와 수용의 정도에 따라 권위적 훈육, 권위주의적 훈육, 관대한 훈육, 무관심한 훈육으로 분류한다. 훈육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봤을 때 훈육은 아동에게 요구하는 것이고 수용은 아동의 요구를 받아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통제는 요구이고 수용은 반응이다. 권위적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반응적이고 요구적으로서 통제와 수용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한다. 통제와 훈육이 일관적으로 적용되면 아동과 부모는 서로간에 믿음이 생기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훈육이라 할 수 있다. 권위주의적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반응 하지 않고 강요만 하는 태도를 보인다. 즉, 통제는 하지만 수용은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훈육을 받은 아동은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을 보일 수 있다. 관대한 훈육.. 2017. 9. 27.
[정서행동장애] 애착 1. 애착이란? 출생 초기 영아와 양육자간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을 말한다. 이러한 애착은 아동이 성장한 후 정서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애착에는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이 있다. 2. 안정 애착 안정 애착시 양육자는 아동에게 필요가 생기면 민감하게 반응해 아동의 필요를 충족해 주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양육자의 반응을 경험한 아동은 양육자를 신뢰하고 자신의 안전 기지로서 생각하게 되고 학습 상황에서 아동은 흥미 있고 호기심 있는 모습을 보이고 높은 성취를 이를 수 있다. 3. 불안정 애착 불안정 애착은 회피 애착, 저항 애착, 혼란 애착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애착마다 양육자의 태도와 아동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첫째, 회피 애착시 양육자의 태도는 스킨십을 하지 않고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2017. 9. 26.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요인(생물학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은 기질적, 환경적 영향으로 지적, 감각운동적, 신체적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거나 적절한 사회관계를 형성, 유지하지 못하고 일상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장애의 원인이 개인 내적인 측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의료적 모델이다. 원인은 유전적 요인, 신경학적 요인, 기질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은 장애의 원인이 가족, 친척 등의 유전으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고, 신경학적 요인은 신경조직이나 뇌의 구조에 문제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다. 기질 요인은 성격의 토대가 되는 심리적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다. 유전과 신경학적인 요인의 경우 의학적 영역이라 중요하지 않지만 기질 요인의 경우 중요하게 볼 부분이 있다. 1. 기질이란 기질이란 앞서 말한 것처럼 성격의.. 2017. 9. 24.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교육적 분류(내재화 요인, 외현화 요인), 장애의 공존 정서행동장애를 교육적으로 분류할 경우 내재화 요인과 외현화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내재화 요인 내재화 요인은 지나치게 외부로 표출하지 않고 통제만 하는 과잉 통제로 인해 내부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 요인의 행동문제는 불안, 공포, 신체적 통증, 사회적 위축, 백일몽이나 환상에 빠짐, 신체적 학대나 정신적 학대 성적 학대 증후를 보인다. 2. 외현화 요인 외현화 요인은 내부에서 적절히 통제하지 못하고 겉으로 심하게 표출하는 통제 결여로 인해 문제가 겉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이 요인의 행동문제는 공격, 불복종, 과잉행동, 성질 부리기, 규칙 위반 및 비행 등을 보인다. 3. 장애의 공존 장애의 공존이란 개인에게 두 가지 이상의 장애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정서행동장애와 다른 장.. 2017.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