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86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의 정의(장특법, ASHA, 언어의 구성요소) 1. 의사소통장애의 장특법 정의 의사소통장애의 장특법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사람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사람을 말한다. 가) 언어의 수용 및 표현 능력이 인지능력에 비하여 현저하게 부족한 사람(언어장애) 나) 조음능력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조음장애) 다) 말 유창성이 현저히 부족하여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유창성장애) 라) 기능적 음성장애가 있어 의사소통이 어려운 사람(음성장애) P.S. 조음장애, 유창성장애, 음성장애를 합쳐서 말장애라 한다. 즉 큰틀에서 언어장애와 말장애로 나눌 수 있다. 2. ASHA의 정의 ASHA에서 말하는 의사소통장애는 개념, 구어, 비구어, 상징 체계를 수용하고 전달, 처리하는 능력의 손상을 의.. 2017. 12. 8.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사회적 능력) 1. 사회적 능력이란?? 사회적 능력은 사회적 장면에서 필요한 사회적 과제를 잘 수행하는지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반적인 평가로서 대인관계 형성에 대한 전반적인 능력을 말한다. 사회적 능력은 적응행동과 사회적 기술이 연관돼 있다. 적응행동은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기술 즉, 개인의 문제를 처리하는 기술을 말하고 사회적 기술은 사회적 과제를 잘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 행동 즉, 대인관계 기술을 말한다. 2.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전반적으로 일반 아동보다 낮다. 특히 사회적 기술을 익히거나 유지하는데 더 많은 어려움을 느껴 사회적 능력에 결함을 나타낸다.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결함은 행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지식의 유무와 분노나 충동성 같은 정서적.. 2017. 12. 6.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자기결정) 1. 자기결정이란? 자기결정은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든 그 원인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결정의 핵심은 의지적인 행동이다. 왜냐하면 자기결정은 무계획적이고 목적 없는 행동이 아닌 의지적이고 의도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의지적인 행동이 자기결정의 핵심인 것이다. 아동은 의지적인 행동 즉 자기결정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삶의 주체가 자신임을 알 수 있게 된다. 2. 자기결정기술 의지적인 행동의 특징인 자기결정기술은 자율성, 자기조정적, 심리적 역량 강화, 자아실현이다. 각 기술에 따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의 구성요소는 독립, 위험 무릅쓰기 및 안전기술, 선택하기, 문제해결, 의사결정이다. 둘째, 자기조정적의 구성요소는 자기관찰, 자기.. 2017. 12. 6.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부분참여의 원리) 1. 부분참여의 원리란?? 부분참여의 원리는 활동 전체에 참여하기 어렵다면 활동의 일부라도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활동에 참여 시킬때는 아무 활동이나 참여 시키는 것이 아니라 활동의 핵심에 참여 시켜야 한다. 학생에게 부분참여의 원리를 적용하게 되면 통합학급에서 지적장애 학생의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잘못된 부분참여의 원리 부분참여의 원리를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이 잘못된 부분참여를 주의해야 한다. 첫째, 수동적 참여. 장애 학생이 다른 학생들과 함께 배치되지만 저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아닌 다른 학생의 활동을 관찰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술 시간에 학생이 도구의 사용이 어렵다는 이유로 다른 학생이 학습하는 .. 2017.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