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86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서술기록) 1. 서술기록의 정의 서술기록은 관찰의 한 종류로서 특정 사건이나 행동 전체를 이야기하듯이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방법이다. 2 서술기록의 장단점 서술기록의 장점은 첫째, 행동에 대해 전반적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아동의 행동에 대해 전반적인 인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시간에 따른 순서에 따라 행동이나 사건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사전 준비가 간편하고 비용이 적다. 넷째, 문제행동의 기록을 통해 더 체계적이고 수량적 정보가 필요한 문제행동을 발견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서술기록의 단점은 첫째, 이야기 하듯이 기록하기 때문에 양적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둘째, 교사가 직접 관찰하기 때문에 여러명의 아동을 동시에 관찰하기 어렵다. 셋째, 사건이나 행동의 기록할 때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2017. 2. 6.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간접방법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간접방법과 직접방법이 있다. 간접 방법은 부모, 교사, 또래 등 제 3자에 의해서 평가하는 방법이다. 직접 방법은 평가자가 관찰을 통해 직접 정보를 수집해서 평가하는 방법이다. 1. 기록검토 기록검토는 과거 학생에게 적용한 중재에 대한 정보를 검토하는 방법이다. 2. 면담 면담 학생이나 학생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는 방법으로서 질문은 구조화된 질문과 비구조화된 질문 모두 사용 가능하다. 3. 체크리스트 평정척도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는 행동의 발생 빈도나 강도 등의 내용에 대해 동의 하는 정도에 따라 작성하는 방법이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평소에 작성하는 강의 만족도 평가나 설문지 등이 체크리스트에 속한다.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는 면담에 비해 실시가 용이하고 시.. 2017. 2. 6.
[문제행동수정]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단계 예방모형 1. 3단계 예방 모형의 종류 3단계 예방 모형은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 3차 예방인 집중적/개별적 중재가 있다. 2. 3단계 예방 모형의 정의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는 모든 아이들을 대상으로 모든 성인들이 참여해서 모든 상황이나 시간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선행적이고 예방적인 방법이다.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는 문제 행동을 일으킬 위험을 가졌지만 집중적이고 개별적인 중재가 필요하지 않은 아동을 위한 것으로서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3차 예방인 집중적/개별적 중재는 행동지원이 필요한 아동을 위한 것으로서 개별 학생에게 집중적인 중재와 사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다. 3. 3단계 예방 모형의 목적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는 기대행동을 정의하고 적절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2017. 2. 6.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벌) 1. 벌의 정의 및 장단점 벌은 어떠한 행동 뒤 후속결과를 조절함으로서 그 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벌은 신속하게 그 행동을 중단 시킬 수 있지만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고 효과가 일시적이라 일반화가 어려울 수 있다. 벌을 사용할 때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첫째, 안전하고 인간적으로 중재 받을 권리 둘째, 최소 강제 대안의 원칙에 의해 중재 받을 권리 셋째, 효과적인 중재를 받을 권리가 있다. 2. 정적벌 정적벌은 표적행동을 보이면 어떤 자극을 제공 함으로서 표적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중단 시키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정적벌은 반응가로막기, 과잉교정이 있다. 첫째, 반응가로막기란 문제행동이 시작되면 즉시 물리적으로 개입하여 반응을 저지해 완결을 가로 막는 것을 말한.. 2016.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