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86 [시각장애] 눈의 구조와 시각장애 원인 - 외안근 이상(사시, 안구진탕) 1. 사시 사시는 외안근의 이상으로 좌안과 우안의 시축이 동일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또한 신경의 마비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마비성과 비마비성으로 나누기도 한다. 사시가 있는 학생은 초점이 맞지 않아 물체가 겹쳐 보이는 복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백내장과 같은 다른 안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사시가 있는 학생을 교육할 때는 시력을 잘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좌석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평소에 잘 보이는 눈만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 눈은 퇴화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잘 안보이는 눈쪽으로 자료를 놓아 주어 사시가 있는 눈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면 좋다. 2. 안구진탕 안구진탕은 안구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는 증상으로 안구의 떨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이 움직임은 규.. 2017. 2. 23.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평정기록) 1. 평정기록의 정의 평정기록이란 표적행동을 관찰한 후 평정수단을 사용해 행동의 특성, 정도, 유무를 판단해서 기록하는 것이다. 2. 평정기록의 유형 평정기록의 유형에는 범주기록, 척도기록, 검목표가 있다. 첫째, 범주기록은 연속적으로 기술된 범주들 중 해당되는 범주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여러가지 아동의 행동에 대한 여러가지 행동들이 기술되어 있고 그중에서 해당 되는 행동을 선택하는 것이다. 둘째, 척도기록은 행동의 정도를 표시한 척도 중 해당 숫자를 선택하여 기록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행동에 대해 기록되어 있고 그 행동의 강도를 1~5까지의 숫자로 표시해놓고 그중에서 맞는 강도를 선택하는 것이다. 셋째, 검목표는 일련의 행동과 특성들의 목록에 행동 특성의 유, 무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어떠한 .. 2017. 2. 14.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사건기록) 1. 사건기록의 정의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기록하는 방법이다. 2. 사건기록의 유형 사건기록의 유형에는 빈도기록법, 강도기록법, 지속시간기록법, 지연시간기록법이 있다. 첫째, 빈도기록법은 관찰시간동안 행동발생 횟수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기록법의 장점은 사용하기 쉽고 수업을 직접적으로 방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행동의 발생 분포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행동의 발생 빈도로는 형태를 알기 힘들고 행동이 자주 발생하거나 오랜 시간에 걸쳐 나타나는 경우 적용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둘째, 강도기록법은 행동의 에너지나 힘의 발휘력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행동이 얼마나 강력한지에 대해 기록하는 방법이다. 셋째, 지속시간기록법은 표적행동이 시작한 시간과 끝.. 2017. 2. 14.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직접방법(간격기록) 1. 간격기록의 정의 간격기록이란 정해진 관찰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간격별로 표적행동의 발생이나 지속여부를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표적 행동의 발생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방법이지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그러한 행동이 발생했는지 기록하지는 않는다. 2. 간격기록의 장단점 간격기록의 장점은 첫째, 관찰 시간을 간격으로 나누기 때문에 아동의 행동과 시간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비교적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셋째, 관찰자가 서로 다른 분석을 한 경우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관찰자간 신뢰도를 점검하는데 용이하다. 간격기록의 단점은 첫째, 아동 행동의 형태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알 수 없다. 둘째, .. 2017. 2. 6.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