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벌의 정의 및 장단점
벌은 어떠한 행동 뒤 후속결과를 조절함으로서 그 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벌은 신속하게 그 행동을 중단 시킬 수 있지만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고 효과가 일시적이라 일반화가 어려울 수 있다.
벌을 사용할 때 윤리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 첫째, 안전하고 인간적으로 중재 받을 권리 둘째, 최소 강제 대안의 원칙에 의해 중재 받을 권리 셋째, 효과적인 중재를 받을 권리가 있다.
2. 정적벌
정적벌은 표적행동을 보이면 어떤 자극을 제공 함으로서 표적행동의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중단 시키는 모든 자극을 말한다.
정적벌은 반응가로막기, 과잉교정이 있다.
첫째, 반응가로막기란 문제행동이 시작되면 즉시 물리적으로 개입하여 반응을 저지해 완결을 가로 막는 것을 말한다.
둘째, 과잉교정은 문제행동으로 인한 손상을 단순히 이전 상태로 복원 시키는 단순교정, 문제행동으로 인한 손상을 원래보다 더 나은 상태로 만드는 복원 과잉교정, 부적절한 행동을 바른 행동으로 반복 연습하게 하는 긍정적 행동연습, 바람직하지 않는 행동을 과잉연습 시키는 부적실행, 문제행동과 관련 없는 다른 행동을 시키는 유관 연습이 있다.
3. 부적벌
부적벌은 표적행동을 보이면 어떤 자극을 제거함으로서 표적행동의 발생을 감소, 중단 시키는 방법이다.
부적벌은 반응대가, 타임아웃이 있다.
첫째, 반응대가란 문제행동이 발생하면 가지고 있던 강화를 회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기 쉽다. 하지만 강화제를 모두 잃게 되는 경우 더 이상 잃을게 없게되어 적절한 행동에 대한 동기를 상실 할 수 있다.
둘째, 타음아웃이란 문제행동 발생시 일정시간 동안 강화 받지 못하도록 분리 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학생을 교수 상황에서 제외시키지 않고 강화제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비격리 비배제 타임아웃, 교실 내에서 진행중인 활동에서 아동을 배제 시키는 비격리 배제 타임아웃, 학생을 따로 준비된 장소로 격리 시키는 격리 타임아웃이 있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문제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행동수정] 정보수집 - 간접방법 (0) | 2017.02.06 |
---|---|
[문제행동수정]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단계 예방모형 (0) | 2017.02.06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소거) (0) | 2016.12.03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차별강화) (0) | 2016.12.03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토큰경제, 행동계약) (1) | 2016.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