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문제행동수정

[문제행동수정]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3단계 예방모형

by drumchoa 2017. 2. 6.
반응형
1. 3단계 예방 모형의 종류

 3단계 예방 모형은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 3차 예방인 집중적/개별적 중재가 있다.


2. 3단계 예방 모형의 정의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는 모든 아이들을 대상으로 모든 성인들이 참여해서 모든 상황이나 시간대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선행적이고 예방적인 방법이다.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는 문제 행동을 일으킬 위험을 가졌지만 집중적이고 개별적인 중재가 필요하지 않은 아동을 위한 것으로서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3차 예방인 집중적/개별적 중재는 행동지원이 필요한 아동을 위한 것으로서 개별 학생에게 집중적인 중재와 사정을 기반으로 하는 방법이다.


3. 3단계 예방 모형의 목적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는 기대행동을 정의하고 적절한 행동을 적극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는 조기에 문제를 판별하고 조정하기 위해 정확한 표적중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차 예방인 집단적/개별적 중재는 기능적이고 적절한 행동 증가와 동시에 문제행동의 빈도, 강도를 감소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3단계 예방 모형의 중재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는 모든 교육환경에서 모든 학생에게 분명한 기대와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는 추가적인 교수와 특수화된 중재를 제공한다.

 3차 예방인 집중적/개별적 중재는 개인에게 개별화되고 종합적인 중재를 제공한다.


5. 3단계 예방 모형의 전략

 1차 예방인 보편적 중재의 전략은 첫째, 행동적 기대가 분명하게 정의되야한다. 둘째, 행동적 기대가 교수되어야 한다. 셋째, 적절한 행동은 인정되어야 한다. 넷째, 긍정적 행동 지원팀은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적합화해야한다.

 2차 예방인 표적집단 중재의 전략은 첫째, 학교 팀에 의한 평가결과를 통해 구체적 집단을 선정해 추가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더욱 체계적인 기능적 행동분석을 통해 중재를 받도록 제공한다.

  3차 예바인 집중적/개별적 중재의 전략은 첫째, 환경을 변화시킨다. 둘째, 일정표를 작성해 예측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선택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적합화를 실시한다. 다섯째, 긍정적 행동을 높이 평가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