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 훈육

by drumchoa 2017. 9. 27.
반응형
 훈육이란 통제와 수용의 정도에 따라 권위적 훈육, 권위주의적 훈육, 관대한 훈육, 무관심한 훈육으로 분류한다. 


 훈육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봤을 때 훈육은 아동에게 요구하는 것이고 수용은 아동의 요구를 받아주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통제는 요구이고 수용은 반응이다. 


 권위적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반응적이고 요구적으로서 통제와 수용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한다. 통제와 훈육이 일관적으로 적용되면 아동과 부모는 서로간에 믿음이 생기게 된다. 가장 이상적인 훈육이라 할 수 있다. 


권위주의적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반응 하지 않고 강요만 하는 태도를 보인다.  즉, 통제는 하지만 수용은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훈육을 받은 아동은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을 보일 수 있다. 


관대한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잘 반응하지만 요구는 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즉, 반응은 하지만 통제는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훈육을 받은 아동은 충동적, 공격적이고 의존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무관심한 훈육의 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대해 반응도 하지 않고 요구도 하지 않는 태도를 보인다. 즉, 반응과 통제 모두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훈육을 받은 아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과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며 정서행동문제를 보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