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21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2 1편에서는 전통적 접근법에서 청지각 훈련법, 조음점 지시법, 운동 감각적 기법, 다중음소 접근법을 다뤘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접근법과 짝 자극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접근법 접근법은 목표음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때 유사한 중간 단계 발음에도 강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목표음소를 조음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동형성기법을 활용한 방법으로 목표에 가까워지도록 유사한 음에 대해 칭찬을 통한 강화를 제공해 목표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2. 짝 자극법 짝 자극법은 핵심단어와 훈련단어를 짝 지어 핵심단어에서 훈련단어로 전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핵심단어는 10번 중 9번 정조음할 수 있는 낱말이고 훈련단어는 핵심단어와 짝지어서 훈련 시키는 단어로서 3번 중 2번은 오조음.. 2017. 12. 26.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1 조음음운장애의 치료에는 전통적 접근과 언어인지적 접근이 있다. 전자는 오류 음소를 하나하나 교정하는 방법이고 후자는 잘못된 오류 패턴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전통적 방법은 음소 습득, 확립, 전이, 유지의 단계를 따르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청지각 훈련법 청지각 훈련법은 청각적 변별훈련을 실시한다. 청각적 변별훈련은 아동 자신의 오류 발음을 인식하고 목표 음소를 다른 음소와 변별하는 훈련방법이다. 쉽게 말해서 아동이 어떻게 조음 하는지 잘 듣지 못하기 대문에 듣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훈련은 집중적인 듣기에서부터 귀 훈련, 개별 음소, 단어 / 문장으로 점차 넓혀가며 체계적으로 훈련을 한다. 2. 조음점 지시법 조음점 지시법은 수동적 방법으로 조음이 일어나는 위치를 직.. 2017. 12. 25. [의사소통장애] 목표 음소 설정 시 고려사항 조음음운장애 아동을 치료하기 위해 목표 음소를 설정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1. 아동의 연령을 고려해야 한다.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라서 습득해야 하는 음소와 습득하지 않아도 되는 음소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ㅅ'의 경우 6세에 습득이 완료 되기 때문에 아동의 목표 음소로 적절하지 않다. 2. 아동의 자극반응도를 고려해야 한다. 자극반응도란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아동에게 자극을 주었을 때 유사한 발음을 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자극반응도가 높은 음소는 쉽게 습득할 수 있기 때문에 목표 음소로 적절하다. 3. 조음 오류를 보이는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아동이 어떤 오류를 보이는지, 오류에는 일관성이 있는지 등을 고려해야한다. 즉 오류의 형태나 오류의 일관성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 2017. 12. 23.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평가 기준 1. 발달 연령 발달 연령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정상 아동의 발달과 비교하는 것이다. 음소는 발달 단계에 따라 습득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2. 자극 반응도 자극 반응도는 특정 음소에 대해 청각적, 촉각적, 시각적 자극을 주었을 때 목표음과 얼마나 유사한 조음을 하는지를 의미한다. 즉 정조음 할 수 있는 자극을 제공했을 때 아동의 조음이 정조음과 유사 할수록 아동은 해당 발음에 대한 자극 반응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치료 상황에서 자극 반응도가 점차 높아진다면 이는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3. 오조음 발생빈도와 음소 정확도 오조음 발생빈도는 잘못 발음한 음소의 수를 말한다. 음소 정확도는 바르게 조음한 음소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다. 공식은 [(바르게 조음한 음소의 수 ÷ 전체.. 2017. 12. 2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