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달 연령
발달 연령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은 정상 아동의 발달과 비교하는 것이다. 음소는 발달 단계에 따라 습득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2. 자극 반응도
자극 반응도는 특정 음소에 대해 청각적, 촉각적, 시각적 자극을 주었을 때 목표음과 얼마나 유사한 조음을 하는지를 의미한다. 즉 정조음 할 수 있는 자극을 제공했을 때 아동의 조음이 정조음과 유사 할수록 아동은 해당 발음에 대한 자극 반응도가 높은 것이다. 또한 치료 상황에서 자극 반응도가 점차 높아진다면 이는 치료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3. 오조음 발생빈도와 음소 정확도
오조음 발생빈도는 잘못 발음한 음소의 수를 말한다.
음소 정확도는 바르게 조음한 음소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다. 공식은 [(바르게 조음한 음소의 수 ÷ 전체 음소의 수) × 100 = 음소 정확도]이다.
쉽게 말해서 오조음한 음소는 얼마나 되고 정확하게 조음한 음소의 비율은 얼마나 되는지 평가 하는 것이다.
4. 오류 자질 패턴 분석
오류 자질의 패턴 분석은 오류 음소의 조음 위치, 방법, 발성에 따라 구별해 오류의 자질적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오류 자질의 패턴을 분석해 해당 자질을 지도하면 해당 자질에 따라 나타나는 오류 유형을 한 번에 교정할 수 있다.
5. 말 명료도
말 명료도는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느끼는 주관적인 기준을 말한다.
6. 오류음운 과정 발생 빈도와 출현율
특정 음운 변동이 몇 번 나타났는지(발생 빈도), 전체 중 몇 % 나타났는지(출현율)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음운 변동은 음운을 소리나는대로 발음 하지 않고 음운변동 규칙을 적용해 발음해야 하는 경우를 말한다. 오류음운 과정의 발생 빈도와 출현율을 분석하면 아동의 오류 패턴을 알 수 있다.
'John' Special Edu > 의사소통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1 (0) | 2017.12.25 |
---|---|
[의사소통장애] 목표 음소 설정 시 고려사항 (0) | 2017.12.23 |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오류 유형 (0) | 2017.12.21 |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0) | 2017.12.20 |
[의사소통장애] 말장애(조음음운장애 정의) (0) | 2017.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