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21

[의사소통장애] 말 언어 산출기관 1. 호흡기관 호흡기관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이다. 그리고 말의 산출에 있어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호흡은 들숨과 날숨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중 날숨을 이용해 말을 산출하게 된다. 호흡기관은 각 기관에서 발동하는 것 까지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관은 폐, 기관지, 흉곽 등을 말하고 발동은 호흡기관에서 말소리에 필요한 기류를 형성하는 작용을 말한다. 즉 폐에서 방출된 공기의 흐름이 성대의 성문을 진동할 수 있는 기압을 형성해 발성 준비를 하는 것이 호흡기관의 역할이다. 2. 발성기관 발성기관은 음성을 산출하는 기관이다. 발성이란 후두에서 음성을 산출하는 작용이다. 즉 폐에서 방출된 공기가 후두에서 성대를 진동시켜 음성을 산출하는 것이다. 호흡기관이 발성의 준비를 하는 것이고 발성기관은 실제로 .. 2017. 12. 12.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생득주의 이론) 1. 생득주의 이론이란 생득주의에서는 인간의 언어 습득은 후천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2. 언어습득장치(LAD) 언어습득장치란 위의 정의에서 말한 인간의 타고난 능력을 말한다. 즉 인간은 언어습득장치를 갖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최소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면 언어의 습득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득주의 이론에서 언어습득장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모든 언어의 심층구조는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구조는 언어습득장치에 의해 표층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심층구조는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표층구조란 생각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유아의 경우 언어적 경험이 많지 않지만 언어와 문법을 습득하고 무.. 2017. 12. 12.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행동주의) 행동주의 학자는 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의 많은 학자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언어 습득을 위해 영향력 있는 연구를 한 사람은 스키너이다. 다음은 스키너의 언어 습득 유형이다. 1. 맨드 맨드는 아동이 요구하고 그 요구가 충족되면 해당 언어 행동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배고파’ 라는 말로 자신의 배고픔이 해결돼 자연스러운 강화가 나타났다면 이를 맨드라고 한다. 즉 맨드는 자연스러운 강화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언어 습득시 가장 먼저 사용된다. 2. 택트 택트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이름을 붙이는 기능을 하는 언어반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대상을 보고 그 대상의 명칭을 유사하게 말했는데 강화가 주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보고 ‘팝, 팝’ 이라고 얘기했.. 2017. 12. 9.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의 분류 의사소통장애는 증상에 따라 말장애와 언어장애로 분류한다. 말장애와 언어장애에 해당하는 세부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말장애 첫째, 조음음운장애는 조음장애와 음운장애로 분류된다. 조음장애는 조음기관에서 말소리를 구성하는 과정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기질적이고 가능적인 원인이 나타난다. 음운장애는 음운지식이나 능력이 부족해 부정확한 음운패턴을 사용하는 것이다. 둘째, 운동말장애는 신경학적 원인으로 말 운동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운동말장애는 말실행증과 마비말장애로 분류된다. 말실행증은 중추신경계는 정상이라 근육의 마비나 약화는 없지만 조음운동을 관장하는 말 프로그램의 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마비말장애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조음기관의 근육의 마비나 약화로 인해 나타나는 것이다. 셋째, 유창성장애는 .. 2017.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