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지적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자기결정)

by drumchoa 2017. 12. 6.
반응형
1. 자기결정이란? 
 자기결정은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든 그 원인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결정의 핵심은 의지적인 행동이다.
 왜냐하면 자기결정은 무계획적이고 목적 없는 행동이 아닌 의지적이고 의도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의도를 가지고 행동하는 의지적인 행동이 자기결정의 핵심인 것이다.
 아동은 의지적인 행동 즉 자기결정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삶의 주체가 자신임을 알 수 있게 된다.

2. 자기결정기술
 의지적인 행동의 특징인 자기결정기술은 자율성, 자기조정적, 심리적 역량 강화, 자아실현이다.
 각 기술에 따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의 구성요소는 독립, 위험 무릅쓰기 및 안전기술, 선택하기, 문제해결, 의사결정이다.
 둘째, 자기조정적의 구성요소는 자기관찰, 자기평가, 자기강화, 자기교수,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이다.
 셋째, 심리적 역량 강화의 구성요소는 자기효능감 및 성과에 대한 기대, 내적통제소재, 자기옹호 및 리더십이다.
 넷째, 자아실현의 구성요소는 자기인식, 자기지식이다.

3. 자기결정기술에 따른 구성요소 세부 내용
 가. 독립과 위험 무릅쓰기 및 안전기술은 독립과 안전에 관한 기술과 기능을 가르쳐 아동에게 다양한 기회, 접근성, 참여를 보장할 수 있다.
 나. 선택히기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구별하고 선택하여 이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다. 문제해결은 문제 파악를 파악하고 문제를 정의 및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정서 행동 장애의 문제해결훈련과 같다.
 라. 의사결정은 가장 매력적인 행동을 선택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비교하고 검토하는 것이다. 즉, 행동을 분석하는 것이다.
 마. 자기관찰, 자기평가, 자기강화, 자기교수는 자기관리 기술 중 하나이다. 자기관찰은 자기점검이라고도 하는데 행동의 양이나 질을 측정해 기록하는 것이다. 자기평가는 자신의 행동을 기준에 맞춰 비교하는 것이다. 자기강화는 목표를 성취했을 때 스스로 선정한 강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자기교수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내적언어를 사용해 촉진하는 것이다.
 바.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을 학생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계획, 점검, 조정하는 것이다.
 사. 자기효능감 및 성과에 대한 기대는 행동을 하면 자신이 예상했던 성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 즉,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이다.
 아. 내적통제소재는 어떠한 결과를 자신의 행동에 의한 결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 자기옹호 및 리더십은 자신의 욕구와 이익을 위해 스스로 주장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자기옹호 및 리더십의 구성요소에는 자신의 이해, 권리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기술, 리더십이있다.
 차. 자기인식과 자기지식은 나 자신에 대해 잘 아는 것과 잘 하는 것을 활용하는 것을 아는 것이다. 

4. 자기결정 교수 학습 모델(SDLMI)
 SDLMI는 자기결정을 향상 시키기 위해 자기결정 능력을 가르치는 것이다. 
 SDLMI의 단계는 1단계 목표설정,  2단계 계획실행, 3단계 목표 및 계획 수정의 총 3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단계에는 문제해결을 위한 4가지의 학생 질문, 교수적 지원, 교사 목표의 3가지 구성 요소를 갖게 되는데 구성요소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학생 질문은 각 단계별로 문제 해결을 위해 4가지 질문을 하는데 이러한 질문을 하는 이유는 자기조정적 문제해결 전략을 지도하기 위해서이다.
 교수적 지원은 각 단계별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교사 목표는 각 단계별로 4가지 학생 질문에 대해 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