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86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오류 유형 조음음운장애 아동은 주로 생략, 첨가, 대치, 왜곡의 오류 유형을 보인다. 다음은 생략, 첨가, 대치, 왜곡은 각각 어떤 오류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생략 생략은 단어에서 특정 음소나 음절이 빠져서 발음 되는 것이다. 특히 음소의 경우 음가가 빠져서 발음하게 되는데 여기서 말하는 음가란 음의 가치를 말한다. 음가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학교'를 '악교'로 발음한 경우 'ㅎ'이 'ㅇ'으로 바뀐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초성의 'ㅇ'은 애초에 음가가 없는 음소이기 때문에 'ㅎ'의 음가가 생략된 것이다. 반면 '학교'를 '항교'로 발음한 경우 'ㄱ'이 'ㅇ'으로 바뀐 것이 된다. 왜냐하면 종성의 'ㅇ'은 음가가 있는 음소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생략은 초성의 생략, 종성의 생략, 음절의 생략으.. 2017. 12. 21.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원인 조음음운장애의 원인은 기질적 원인과 기능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기질적 원인이란 실제로 조음하는 기관의 결함 때문에 조음에 오류가 생기는 것이고 기능적 원인이란 기질적 원인이 없는 상태에서 음소를 늦게 습득하거나 음운체계의 지식이 부족해 잘못된 방법으로 오조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의학적 처치를 통해 기질적 원인이 없어지더라도 예전의 습관으로 인해 기능적 오조음이 나타날 수 있어 기질적 원인과 기능적 원인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1. 기질적 원인이란 기질적 원인은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실제로 조음하는 기관의 결함 때문에 조음에 오류가 생기는 것이다. 특히 기질적 원인은 오류를 보이는 조음에 일관성이 있다는 특징이있다. 2. 기질적 원인의 종류 첫째, 구개파열이다. 구개파열은 연인두패.. 2017. 12. 20.
[의사소통장애] 말장애(조음음운장애 정의) 조음음운장애란 조음장애와 음운장애를 포함하는 것으로 전자는 조음기관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발음상의 문제를 말하고 후자는 음운체계에 대한 지식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조음장애와 음운장애의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음장애 조음장애는 위에서 말한 것처럼 조음기관의 이상으로 발음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즉 조음시 영향을 주는 기관의 기질적 문제로 인해 말의 산출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특히 조음장애는 특정 음소에서 일관성 있는 오조음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ㅁ/을 오조음 하는 아동이 '엄마와 마트에서 김밥을 먹었어요' 라고 말할 경우 아동이 오조음 하는 말은 /ㅁ/이 들어가는 '엄마', '마트', 김밥', '먹었어요' 가 된다. 이렇게 조음장애 아동이 일관성 있는 오조음을 하는 이유는 기질적.. 2017. 12. 19.
[의사소통장애] 언어의 구조(의미론, 구문론, 화용론) 1. 의미론 의미론은 말의 이해와 해석에 관한 것으로 주성분은 단어이다. 단어란 문법상의 뜻을 가진 언어의 최소 단위를 말하는데 조사는 단어로 인정하지만 어미는 단어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수가 신발을 샀다.'라는 문장은 몇 개의 단어로 구성 됐는지 확인해보면 '/광수/가/ /신발/을/ /샀다./'와 같이 총 5개의 단어를 이용해 문장이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아동의 어휘습득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행위를 표현하는 단어가 추상적 개념을 표현하는 단어보다 먼저 습득된다. 둘째, 24개월부터 동사 산출이 증가한다. 셋째, 36개월부터 접속사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넷째, 일상생활 용어와 일반명사가 가장먼저 습득된다. 다섯째, 명사가 동사보다 먼저 습득된다. 여섯째, 일반명사가 대명사.. 2017.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