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생득주의 이론)

by drumchoa 2017. 12. 12.
반응형
1. 생득주의 이론이란
 생득주의에서는 인간의 언어 습득은 후천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 있기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2. 언어습득장치(LAD)
 언어습득장치란 위의 정의에서 말한 인간의 타고난 능력을 말한다. 즉 인간은 언어습득장치를 갖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최소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면 언어의 습득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생득주의 이론에서 언어습득장치가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모든 언어의 심층구조는 같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층구조는 언어습득장치에 의해 표층구조로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심층구조는 머리속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표층구조란 생각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둘째, 유아의 경우 언어적 경험이 많지 않지만 언어와 문법을 습득하고 무한대의 문법을 만들 수 있다.
 셋째, 최소한의 언어 환경에 노출되면 언어의 습득이 가능하다.
 넷째, 지능과 상관 없이 모두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

3.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
 생득주의에서는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아동이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를 놓치면 언어 습득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에 대한 이유는 모두들 잘 아는 빅터의 예를 들수 있다. 이타르 박사는  11살 ~ 12살정도의 한 소년을 야생에서 발견해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했다. 이 소년은 거의 모든 영역에서 엄청난 발전을 보이게된다. 실제로 읽고 쓰기까지 가능하게 되지만 말하는 것은 끝내 배우지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를 들어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를 놓치게되면 언어습득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