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행동주의)

by drumchoa 2017. 12. 9.
반응형
 행동주의 학자는 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의 많은 학자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언어 습득을 위해 영향력 있는 연구를 한 사람은 스키너이다.
 다음은 스키너의 언어 습득 유형이다. 

1. 맨드
 맨드는 아동이 요구하고 그 요구가 충족되면 해당 언어 행동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배고파’ 라는 말로 자신의 배고픔이 해결돼 자연스러운 강화가 나타났다면 이를 맨드라고 한다. 즉 맨드는 자연스러운 강화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언어 습득시 가장 먼저 사용된다. 

2. 택트
 택트는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이름을 붙이는 기능을 하는 언어반응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대상을 보고 그 대상의 명칭을 유사하게 말했는데 강화가 주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밥을 보고 ‘팝, 팝’ 이라고 얘기했는데 부모가 ‘그래 밥이야 잘했어’ 라는 말과 함께 안아준다면 아동은 ‘밥’이라는 단어를 정확하게 습득하게 되는 것이고 이를 택트라고 한다. 즉 택트는 자연스럽지 않은 강화를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3. 모방
 모방은 부모의 말을 아동이 따라하는 것처럼 말소리를 듣고 비슷하게 소리 내며 만들어진다. 모방은 맨드와 택트를 교육할 때 사용할 수 있다. 

4. 오토클래티스
 오토클래티스는 꾸밈어다. 쉽게 말해서 다른 언어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줘’ 대신 ‘주세요’ 를 한다던지 ‘~ 해 주시겠어요?’ 와 같이 상황적 맥락에 따라 청자의 반응을 고려하는 것을 오토클래티스라고 한다. 

5. 언어자극 - 언어반응
 언어자극 - 언어반응은 언어 행동에서 나타나는 자극에 대한 반응이다. 쉽게 말해서 질문에 대해 답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오늘 점심 뭐니?’ 라는 물음에 ‘카레’ 라고 답하는 것이다. 
 이러한 질문과 답은 아동이 직접적으로 언어 환경을 접하며 경험을 통해 습득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