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지적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최소 위험 가정 기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by drumchoa 2017. 11. 30.
반응형
1. 최소 위험 가정 기준
 최소 위험 가정 기준이란 앞의 글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결정적 자료가 없을 때 교사가 잘 못된 결정을 하더라도 학생에게 최소로 위험한 결과를 가져오도록 해야한다는 의미다. 지적장애 학생이 어떠한 영역에서 학습이 불가능하다고 증명된 적이 없기 때문에 결정적인 증거가 없는한 교사는 아동의 장애가 심하다 해도 최선의 결과를 낼 수 있도록 교수해야 한다.

    2.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은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적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다. 여기서 기능적 기술이란 아동의 현재와 미래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서 만약 아동이 이 기술을 익히지 못하면 타인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기술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신변처리 기술 같은 것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은 경도의 지적장애 아동 보다는 중도의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과정이라할 수 있다.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은 일반적인 발달 단계의 순서를 따라 기술을 학습하는 발달적 접근법이나 상향식 접근법과는  다르게 발달 단계의 순서 즉 전제 기술의 유무보다는 아동의 현재와 미래에 필요한 기능적 기술을 우선으로 가르치는 생태학적 접근법이나 하향식 접근법을 따른다.
     교수해야 하는 기능적 기술은 개인에 따라 장애의 정도와 수준이 다르고 현재와 미래에 필요한 기술이 다르기 때문에 기능적 기술은 개인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에게 적합한 기능적 기술을 찾거나 교수하는 방법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생태학적 목록법을 이용하여 기능적 기술을 찾고 지역사회 중심교수를 이용해 기능적 기술을 가르치게 된다.

     생태학적 목록법과 지역사회 중심교수는 다음 편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최소 위험 가정 기준에 대해 작성한 이전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