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생태학적 목록법이란
생태학적 목록법이란 아동의 현재와 미래 생활에 필요한 기능적 기술을 찾기 위한 평가 도구의 개념이다. 즉 아동에게 지도할 구체적인 기술을 선정하는 교육과정 개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생태학적 목록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아동이 처한 환경에서 기능적이고 생활연령에 맞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강조한다. 그 이유는 일반화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둘째, 지역사회 중심을 강조한다. 그 이유는 아동이 지역사회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셋째, 디도를 위해 결정된 기술은 사회적 타당화 과정을 통해 기능적이고 적절한 것으로 결정한다. 사회적 타당화 과정이란 사회적 타당도와 경험적 타당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전자는 주위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기술인지 고려하는 것이고, 후자는 아동의 독립적 상황에서 필요한 기술인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2. 생태학적 목록법의 절차
1단계 교육과정 영역 정하기 : 아동이 직접적으로 기술을 사용하게 될 교육과정 영역을 정한다. 영역은 지역사회 영역, 가정 영역, 학교 영역 등이 있다.
2단계 각 영역에서 현재 환경과 미래 환경을 확인하기 : 학생이 현재 처한 환경과 미래에 처하게 될 환경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학생이 학교에 등교시 도우미의 도움을 받지만 미래에 직장에 출근시 혼자 버스를 타야할 수도 있다.
3단계 하위환경으로 나누기 : 학생에게 필요한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그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환경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집이라면 거실, 침실, 화장실 등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4단계 하위환경에서 벌어지는 활동 목록 만들기 : 하위환경에서의 필요한 구체적인 활동을 확인하고 목록으로 만드는 것이다. 활동을 확인 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기술이 얼마나 자주 활용 되는가? 둘째,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안전을 위해 필요한 기술인가? 셋째, 학습한 기술로 주변을 통제할 수 있는가?
5단계 각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 결정하기 : 각 활동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술을 결정한다.
3. 생태학적 목록법을 사용할 때 고려할 사항
첫째, 아동에게 독립적으로 필요한 기술인지 고려한다.
둘째, 주변 사람들도 설정한 기술을 인정하는지 고려한다.
셋째, 사회적 타당화 과정을 고려한다.
생태학적 목록법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기능적 기술을 조사하고 찾는 절차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능적 기술이 무엇이며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다음은 이전에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에 대해 작성한 글의 링크입니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일반사례 교수법) (0) | 2017.12.02 |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지역사회 중심교수) (0) | 2017.12.01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최소 위험 가정 기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0) | 2017.11.30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0) | 2017.11.29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고려해야할 원리 (0) | 2017.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