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 고려해야할 원리는 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이번 편에서는 간단히 서술하고 각 항목에 따라 자세한 내용은 다음 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연령에 적합한 교육과정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과정을 구성할 시 그 내용은 생활연령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해야한다. 기능과 연령에 적합한 기술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할 때 준비도 가설에 따른 준비성 함정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2. 궁극적 가능성의 기준
지적장애 아동은 최소 제한 환경에서 일반 아동과 함께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해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준으로 목표를 설정 해야한다. 그 이유는 개인에게 필요한 궁극적 기능성은 모두 달라 그것을 모두 가르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기 환경에서 최대한 독립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를 가르쳐야 한다.
3. 최소 위험 가정 기준
결정적 자료가 없을 때 교사가 잘 못된 결정을 하더라도 학생에게 최소로 위험한 결과를 가져오도록 해야한다. 예를 들어 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통합 교육 유무를 결정한다면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미래에 지적장애인과 살아가는 환경보다는 일반인과 살아가는 환경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지적장애 아동끼리 수업하는 것은 위험하다. 그렇다면 그나마 덜 위험한 것은 무엇이겠는가?? 바로 일반아동과 통합하는 것이다.
4. 영수준의 측정
지적장애 아동을 교수할때는 함부로 추측해서는 안된다. 즉 학습한 기술을 사회생활에서 일반화하지 못할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환경에서 일반화가 가능한지 시험해봐야한다.
5. 자기결정증진
자기결정이란 개인이 어떤 방식으로 행동하든 그 원인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자기결정을 증진 시켜야 한다.
6. 일상 생활 기술 교수
지적장애 아동에게 일상생활 기술을 교수 해야하는 이유는 성인기에 독립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지적장애 아동의 일상생활 기술의 편차는 장애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며 기술을 학습한 아동과 학습하지 않은 아동간에도 차이가 크다. 이러한 일상 생활 기술 교수는 기본적 일상생활 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기능적 일상생활 활동은 일상생활을 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으로 요구하는 기술 그 자체가 목적이 된다. 이러한 활동의 예는 수면, 휴식, 자기 관리 등이다.
둘째,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은 진보된 문제해결과 사회적 기술이나 복잡한 환경적 상호작용의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활동의 예는 의사소통 도구, 음식준비, 청소, 건강 관리 및 유지 등이다.
각 항목의 세부내용에 대한 링크입니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최소 위험 가정 기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0) | 2017.11.30 |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궁극적 기능성의 기준) (0) | 2017.11.29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발달론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 (0) | 2017.11.26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정서적 특성 (0) | 2017.11.25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일반화 특성 (0) | 2017.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