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지적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지역사회 중심교수)

by drumchoa 2017. 12. 1.
반응형
1. 지역사회 중심교수란?
 지역사회 중심교수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전략으로 지역사회 환경에서 활동할 때 필요한 기술을 실제 환경에서 직접 교수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중심교수는 영수준측정과 최소 위험 가정 기준을 토대로 해서 실행한다. 

2. 지역사회 중심교수 전략
 지역사회 중심교수는 지역사회 모의 수업, 지역사회 참조수업, 지역사회 중심교수가 있다. 
 첫째, 지역사회 모의수업(CS)은 지역사회 장면이나 과제를 교실수업으로 끌어와 모의활동 형식으로 진행하는 방법이다. 지역사회 모의수업의 장점은 시간적, 경제적, 공간적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고 어려운 부분을 따로 분리해 집중해서 반복연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연습은 실제 사용시 실수를 최소화해 아동의 동기와 자신감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지하철 이용하기 기술을 지도한다면 교실 수업중에 지하철 이용장면을 보여주거나 교통카드를 찍는 연습을 반복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참조수업(CRI)은 학교 공간에서 지역사회 기술을 간접적으로 연습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 참조수업의 장점은 간접적 연습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수영장 이용하기를 지도하기 위해 학교내의 수영장을 이용하거나 음식점 이용하기를 지도하기 위해 학교 식당을 이용해 메뉴를 주문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교수(CBI)는 교수학습 활동이 실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 중심교수는 체계적인 교수계획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순한 현장학습이나 적응훈령과 구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지하철 이용하기를 지도하기 위해 실제로 지하철을 타거나 은행 이용하기 기술을 지도하기 위해 은행에 직접 방문해 은행에서 입금하거나 출금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다음은 이전에 지역사회 중심교수에 대해 작성한 글의 링크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