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란 새로운 방법으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지적장애 아동은 자극 일반화, 반응 일반화, 유지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다음은 일반화에 대한 내용이다.
1. 자극 일반화
자극 일반화란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새로운 자극에서 반응하는 것으로 유형에는 장소에 대한 일반화, 사람에 대한 일반화, 사물에 대한 일반화가 있다.
첫째, 장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운 환경이나 장소가 아닌 조건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둘째, 사람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가르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도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사물에 대한 일반화란 지식이나 기술을 배울 때 사용한 자료가 아닌 다른 자료로 지식이나 기술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아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일반화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다.
첫째, 지역사회 중심 교수와 같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가르치게 되면 아동의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훈련상황과 일반화 상황을 비슷하게 해 아동을 가르치게 되면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다양한 관련 자극을 아동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아동에게 많은 경험을 할 수 있게해 자극 일반화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2. 반응 일반화
반응 일반화란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수정해서 반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부수적인 행동 변화를 뜻한다. 예를 들어 아동에게 흰 쌀밥을 짓는 방법을 알려줬는데 아동이 잡곡 밥을 지을 수 있게 된다면 반응 일반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반응 일반화를 향상 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극 일반화와 같이 아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일반화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다.
첫째, 충분한 예를 들어 설명 하는 것이다. 이때 아동은 여러가지 예를 통해 배우지 않은 반응에 대해 간접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이는 반응 일반화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학생의 다양한 반응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교사가 다양한 반응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되면 학생의 반응 범위가 넓어져 반응 일반화를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유지
유지는 시간에 대한 일반화라고도 하는데 학습이 끝난 후 시간이 지나도 습득한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유지를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또한 자극 일반화나 반응 일반화 같이 아래의 방법은 대부분의 일반화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다.
첫째, 간헐강화계획을 사용한다. 학습이 끝난 후 아동이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할 때 불규칙적으로 강화함하게 되면 기준은 모르지만 이 행동을 하면 강화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학습한 지식이나 기술을 사용하려 할 것이다.
둘째, 아동이 적절한 수준으로 학습한 후에도 계속해서 가르치는 것이다.
셋째, 분산연습을 사용한다. 분산연습이란 연습과 연습 사이에 시간을 두는 것이다. 즉 학습 후에 어느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 다시 학습하는 방법이다.
4. 일반화 오류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학습할 때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는 일반화의 오류는 과소 일반화와 과잉 일반화이다.
첫째, 과소 일반화란 학습한 내용을 너무 좁은 범위로 한정해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집에서 파는 짜장면만을 짜장면이라 생각하고 집에서 만든 짜장면은 짜장면이라 생각하지 않는 것이나 집에서 기르는 ‘개’만 ‘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둘째, 과잉 일반화란 학습한 내용을 너무 넓은 범위로 확대해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집에서 파는 짜장면뿐만 아니라 면으로 된 모든 것을 짜장면이라 생각하는 것이나 ‘개’에 대해 학습한 후 고양이와 같이 다리가 4개 있는 동물에 대해 모두 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발달론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 (0) | 2017.11.26 |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정서적 특성 (0) | 2017.11.25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기억 특성(기억) (0) | 2017.11.21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특성(주의특성) (0) | 2017.11.18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인지발달) (0) | 2017.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