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또래교수의 개념
또래교수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일반학급에서 특수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우수한 학생을 특수학생과 짝지어서 보충 설명과 피드백을 받게 하는 방법이다.
또래교수의 장점은 또래 교수자가 옆에서 바로바로 피드백 해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업 성취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또래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서로간에 긍정적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학업 성취와 사회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래교수를 적용할 때 교사는 총 감독자로서의 역할을 해야한다. 또래교사에게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위임하면 안된다.
2. 또래교수의 유형
또래교수는 그 방법에 따라 학급 전체 또래교수(CWPT), 학급 전체 또래교수 팀(CSTT), 또래 지원 학습전략(PALS)이 있다.
첫째, 학급 전체 또래교수는 모든 학생이 1:1로 지원 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가 모든 학생에게 개별적 지도가 어려운 경우 모든 학생이 1:1로 짝지어서 서로 역할을 바꿔가며 서로 가르치는 방법이다.
둘째, 학급 전체 또래교수 팀은 이질적인 집단 구성 후 집단 안에서 학생들이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을 하는 방법으로 또래교수와 협력학습을 합한 형태이다.
셋째, 또래 지원 학습전략은 성취가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을 1:1로 짝지어 활동하는 방법이다.
- 또래 지원 학습전략에서 사용하는 활동은 파트너와 읽기, 단락요약, 예측하기가 있다.
파트너와 읽기는 높은 수준의 학새이 먼저 읽고 낮은 수준의 학생이 다시 읽는 방법으로 읽기 오류시 또래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 단락요약은 또래교사가 책을 읽은 학생에게 주제에 관해 질문하는 방법으로서 요약 오류시 오류를 수정한 후 학생의 역할을 바꾼다.
- 예측하기는 글을 일고 다음 페이지의 내용을 예측하게 하는 것이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0) | 2016.11.29 |
---|---|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교수(교수 지원 모형, 스테이션 교수) (0) | 2016.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