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교수 지원 모형
교수 지원 모형이란 한 교사가 전체 교수를 맡고 다른 교사는 학생들 사이를 순회하며 지원이 필요한 학생에게 개별적으로 지도하는 방법으로 쉽게 말해 한 교사는 전체 학생, 다른 교사는 개별 학생을 맡아서 가르치는 방법이다.
교수 지원 모형의 장점은 수업 내용에 따라 교사의 역할을 교체하기 때문에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고 협력교사가 아동의 문제행동이나 학습에 대해 개별적 지원을 해줌으로써 전체 교수 담당자가 전체 수업에 더욱 집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주교사와 보조교사의 역할을 나누기 때문에 진정한 협력교수가 아니고 만약 특수교사가 보조교사의 역할을 계속하게 되면 장애학생이나 개별지원을 받는 학생에게 낙인을 찍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교사와 보조교사의 역할은 항상 고정하면 안된다.
2. 스테이션 교수
스테이션 교수란 교사가 수업내용과 학생을 모둠 형태로 구성하고 각 모둠의 학생은 스테이션을 따라 이동하면서 스테이션 담당 교사에게 교수 받는 형태이다. 보통 스테이션은 2 ~ 3개로 나눠서 적용할 때 효과적이다.
스테이션 교수의 장점은 수준별로 소그룹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집단 구성이 가능하고 각 집단 마다 협동과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하는 수업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학습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단점은 아이들이 이동을 하기 때문에 시끄러워질 수 있고 집단으로 일하는 기술과 독립적인 학습 기술과 같은 일정 수준의 기술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미리 모둠에 따라 규칙이나 기술을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0) | 2016.11.29 |
---|---|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적 접근(학문적 팀 접근) (0) | 2016.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