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팀 경쟁학습, 팀 게임 토너먼트(TGT)
팀 경쟁학습은 수업을 게임처럼 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아동에게 성공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
팀 경쟁학습의 절차는 설명 → 모둠학습 → 토너먼트 게임 → 팀 점수 게시 및 보상이다.
팀 경쟁학습의 특징은 모든 교과에 쉽게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단순암기, 훈련적 교수가 필요한 교과에 효과적이며 매주 최우수 팀을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게임점수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점수계산에만(외적동기) 치우친 나머지 내적동기를 잃을 수 있다.
2. 팀 보조 개별학습(TAI)
팀 보조 개별학습은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혼합된 모형으로 집단의 구성은 STAD와 같지만 집단이 같은 내용을 배우진 않는 방법이다.
팀 보조 개별학습의 절차는 배치검사와 모둠구성 → 학습 자료 배포 → 모둠학습 → 형성평가 → 모둠 점수와 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팀 보조 개별학습의 특징은
첫째, 배치검사를 통해 성적이 낮은 학생과 우수한 학생의 수업자료와 목표를 다르게 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학습과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둘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이중적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같은 모둠 속에서 상호교수에 의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협동학습의 효과가 있고, 같은 수준의 학생 모둠을 개별 지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학습의 효과가 있다.
하지만 팀 보조 개별학습은 복잡하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이 익숙해지기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 협동학습(또래교수) (0) | 2016.11.29 |
---|---|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교수(교수 지원 모형, 스테이션 교수) (0) | 2016.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