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통합교육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by drumchoa 2016. 10. 29.
반응형
1. 평행교수 

 평행교수란 두명의 교사가 함께 수업을 계획한 후 학생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을 맡아서 지도하는 방법으로 같은 내용을 집단으로 나눠서 지도해야 할 경우 효과적인 방법이다.

 평행교수의 장점은 같은 내용을 두 번 배우기 때문에 효과적인 복습이 될 수 있고 학생의 반응을 높일 수 있다.

 단점은 집단간 경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활동에 대해 교사의 설명 수준, 난이도, 수업진형 속도가 다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수업의 세세한 부분까지 계획하고 조율하는 것이 좋다.


2. 대안교수

 대안교수란 학급을 대집단과 소집단으로 나누어 한 명의 교사는 대집단을 지도하고 다른 한 명의 교사는 소집단에서 심화, 보충 학습을 하는 방법으로서 일부 소집단에 집중적인 교수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좋은 방법이다.

 대안교수의 장점은 소집단에 속한 학생에게 심화학습과 보충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못하는 부분을 개별하는 시간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분리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쉽고 이로 인해 학생을 고립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잘 못하는 학생만 계속 선택되어 소집단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많아지며 그 학생은 공부 못하는 학생으로 낙인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학생이 소집단 교수를 받도록 계획해야하며 교사 또한 역할을 대집단과 소집단으로 고정되면 안된다.


3. 팀티칭

 팀티칭이란 두 명의 교사가 수업을 함께 조직하고 질문과 설명을 주고 받으면서 수업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동등한 책임과 역할을 가지고 함께 수업을 이끌어가는 방법이다.

 팀티칭의 장점은 교사의 역할이 분리 되지 않았기 때문에 역할과 교수 내용의 공유를 돕고 서로 질문과 설명을 주고 받으면서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아동들에게 학업적인 부분이나 사회성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의 모델이 될 수 있다.

 단점은 두명의 교사가 함께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교사에게 많은 시간의 공동 준비 과정이 필요하고 교사에게 모델링과 역할놀이 기술이 필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