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팀성취 분담 학습(STAD)
팀 성취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팀을 구성한 후 과제는 함께 학습하고 퀴즈는 따로 보는 방법으로 팀으로 학습하고 개별로 시험을 치는 방법이다. 보상을 위한 시험 점수는 개인별 향상 점수를 사용하는데 향상점수란 개인이 이전 차시에 받은 점수와 본 차시에 받은 점수를 비교하여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팀 성취 분담 학습의 특징은 학생들의 완전 학습을 위해 수준별 과제가 아닌 동일한 과제가 주어지고 개인별 향상 점수를 이용하여 팀 점수를 산출하여 집단으로 보상 받게 된다.
2. 과제 분담 학습(JIGSAW)
과제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자신이 맡을 주제를 정하게 된다. 자신이 맡은 부분에 대해 서로 다른 그룹에서 같은 주제를 정한 학생들이 모여 전문가 집단에서 공부한 후 자신의 그룹으로 돌아가 또래들을 가르치는 방법이다. 각 개인은 자신이 맡은 주제에 대해 그룹내의 다른 또래들을 가르치는 전문가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문가 집단 모형이라고도 한다.
과제 분담 학습은 총 4가지의 유형이 있다. (과제 분담 학습은 이후 편의를 위해 직소(JIGSAW)로 대신 하겠습니다. 그리고 각 유형별 추가되거나 변경된 부분은 볼드 처리하겠습니다.)
첫째, 직소 1의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집단 구성 → 개인별 전문과제 부여 → 전문과제별 모임 → 원 소속집단에서 협동학습 → 개별 평가 → 개인 점수 산출
둘째, 직소 2의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집단 구성 → 개인별 전문과제 부여 → 전문과제별 모임 → 원 소속집단에서 협동학습 → 개별 평가 → 개인점수, 향상점수, 집단점수 산출 → 개별보상, 집단보상
셋째, 직소 3의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집단 구성 → 개인별 전문과제 부여 → 전문과제별 모임 → 원 소속집단에서 협동학습 → 평가 유예기 → 원 소속집단에서 평가 준비 → 개별 평가 → 개인점수, 향상점수, 집단점수 산출 → 개별보상, 집단보상
넷째, 직소 4의 수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집단 구성 → 도입(수업내용 소개) → 개인별 전문 과제 부여 → 전문과제별 모임 → 퀴즈 1(전문과제 평가) → 원 소속집단에서 협동학습 → 퀴즈 2(전체 학습과제 평가) → 개별 평가 → 개인점수, 향상점수, 집단점수 산출 → 개별보상, 집단 보상 → 재교수(선택활동)
반응형
'John' Special Edu >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0) | 2016.11.29 |
---|---|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교수(교수 지원 모형, 스테이션 교수)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적 접근(학문적 팀 접근) (0) | 2016.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