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85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1.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자율적 협동학습은 한 학급의 전체 과제를 여러 모둠으로 구성된 학급 전체가 협동해서 해결하는 방법이다. 전체 과제에 대해 학생들은 토론을 통해 학생이 학습하고 싶은 소주제별로 모둠을 만들고 모둠 내에서 미니주제로 나눠 개인이 학습하게 된다. 자율적 협동학습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학습주제 소개 → 학생 중심 학급 토론 → 모둠 구성을 위한 소주제 선택 → 소주제별 모둠 구성 → 소주제 정교화 → 미니 주제의 선택과 분업 → 개별 학습 준비 → 모둠 내 미니 주제 발표 → 모둠별 발표 준비 → 모둠별 학급 발표 → 평가 및 반성 자율적 협동학습의 특징은 모둠별 한가지 주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닌 학급 전체가 한가지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동한다는 것이다. 2. 집.. 2016. 11. 28.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1. 팀성취 분담 학습(STAD) 팀 성취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팀을 구성한 후 과제는 함께 학습하고 퀴즈는 따로 보는 방법으로 팀으로 학습하고 개별로 시험을 치는 방법이다. 보상을 위한 시험 점수는 개인별 향상 점수를 사용하는데 향상점수란 개인이 이전 차시에 받은 점수와 본 차시에 받은 점수를 비교하여 얼마나 향상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팀 성취 분담 학습의 특징은 학생들의 완전 학습을 위해 수준별 과제가 아닌 동일한 과제가 주어지고 개인별 향상 점수를 이용하여 팀 점수를 산출하여 집단으로 보상 받게 된다. 2. 과제 분담 학습(JIGSAW) 과제 분담 학습은 이질적인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 자신이 맡을 주제를 정하게 된다. 자신이 맡은 부분에 대해 서로 다른 그룹에서 같은 주제를 정한 학생들이 모.. 2016. 11. 28.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토큰경제, 행동계약) 1. 토큰경제 토큰경제란 바람직한 행동을 한 후 강화물과 교환할 수 있는 토큰을 제공함으로서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토큰경제의 장점은 바람직한 행동 후 즉시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최대치의 제한이 없어 많은 양을 제공하더라도 강화포만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강화포만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토큰을 이용해서 다양한 강화제와 교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토큰경제의 문제점은 토큰을 많이 모은 후 부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음으로 토큰의 사용 기한을 정해서 빨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2. 행동계약 행동계약이란 아동이 목표를 달성 했을 때 주어지는 강화에 대해 교사와 아동이 서로 동의한 내용에 대해 문서로 만든 것이다. 행동계약에 들어가야 할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기본적으로 계.. 2016. 11. 2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촉진과 용암) 1. 촉진 촉진은 아동이 자극에 대해 바람직한 반응을 보이지 못했을 경우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도와주는 부가적인 자극이다. 예를들어 아동이 주어진 과제의 수행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 하는 경우 필요한 만큼의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촉진은 자극 촉진과 반응 촉진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자극 촉진이란 변별 자극을 변화 시키거나 증가시켜 변별자극에 대한 단서를 주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아동이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자극에 변화를 주거나 추가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자극 촉진은 자극내 촉진과 가외 자극 촉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극내 촉진은 변별 자극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위치, 크기, 모양, 색깔 등에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가외 자극 촉진은 다른 자극을 추가하거나, 변별자극에 대.. 2016. 11. 2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