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85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소거) 1. 소거의 정의 및 장단점 소거는 문제행동을 유지시키는 강화요인을 제거하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소거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제거하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오래 지속된다. 하지만 소거저항, 소거폭발, 자발적 회복 등의 저항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환경을 완벽하게 통제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일반화하기가 어렵게 된다. 2. 저항 소거는 소거저항, 소거폭발, 자발적 회복 등의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저항이라고 한다. 첫째, 소거저항은 행동에 대한 강화가 중단될 때 나타나는 표적행동의 횟수가 증가 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소거폭발은 소거과정 동안 강화되지 않은 행동이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것으로서 이때 행동의 빈도, 지속시간, 강도 등이 증가하게 된다. 표적행동이 증가하는 것 외에 보이지 .. 2016. 12. 3.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차별강화) 1. 차별강화의 정의 차별강화란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해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감소 시키는 것으로서 아동이 잘 못하는 것에 대해 강화를 제거하거나 혐오스런 자극을 주지 않음으로서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좋아질 수 있고 일반화하기가 쉽다. 2. 차별강화의 유형 차별강화에는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DRL), 다른 행동 차별강화(DRO), 대체 행동 차별강화(DRA), 상반행동 차별강화(DRI)가 있다. 첫째,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는 표적행동이 문제가 있기보단 행동의 발생빈도가 너무 높아서 문제가 될 때 그 행동이 기준치 만큼 감소되면 강화하는 방법으로 전체 회기 동안 발생한 표적행동의 비율이 기준치보다 낮을 때 강화하는 전체회기 저비율 행동 차별강화와 한 회기를 같은 간격으로 나누고 각 간격동안 발생한 표적행동.. 2016. 12. 3. [통합교육] 협동학습(또래교수) 1. 또래교수의 개념 또래교수는 가장 보편적이고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일반학급에서 특수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우수한 학생을 특수학생과 짝지어서 보충 설명과 피드백을 받게 하는 방법이다. 또래교수의 장점은 또래 교수자가 옆에서 바로바로 피드백 해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의 학업 성취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또래 교수자와 학습자가 서로 가르치고 배우며 서로간에 긍정적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학업 성취와 사회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래교수를 적용할 때 교사는 총 감독자로서의 역할을 해야한다. 또래교사에게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위임하면 안된다. 2. 또래교수의 유형 또래교수는 그 방법에 따라 학급 전체 또래교수(CWPT), 학급 전체 또래교수 팀(CSTT), .. 2016. 11. 29.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1. 팀 경쟁학습, 팀 게임 토너먼트(TGT) 팀 경쟁학습은 수업을 게임처럼 하는 방법으로서 모든 아동에게 성공의 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할 수 있다. 팀 경쟁학습의 절차는 설명 → 모둠학습 → 토너먼트 게임 → 팀 점수 게시 및 보상이다. 팀 경쟁학습의 특징은 모든 교과에 쉽게 적용 가능하지만 특히 단순암기, 훈련적 교수가 필요한 교과에 효과적이며 매주 최우수 팀을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게임점수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점수계산에만(외적동기) 치우친 나머지 내적동기를 잃을 수 있다. 2. 팀 보조 개별학습(TAI) 팀 보조 개별학습은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혼합된 모형으로 집단의 구성은 STAD와 같지만 집단이 같은 내용을 배우진 않는 방법이다. 팀 보조 개별학습의 절차는 배치검.. 2016. 11. 29.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