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2

by drumchoa 2017. 12. 26.
반응형

1편에서는 전통적 접근법에서 청지각 훈련법, 조음점 지시법, 운동 감각적 기법, 다중음소 접근법을 다뤘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오늘은 접근법과 짝 자극법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1. 접근법

 접근법은 목표음소의 정확한 발음이 어려울때 유사한 중간 단계 발음에도 강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목표음소를 조음 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행동형성기법을 활용한 방법으로 목표에 가까워지도록 유사한 음에 대해 칭찬을 통한 강화를 제공해 목표에 이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2. 짝 자극법

 짝 자극법은 핵심단어와 훈련단어를 짝 지어 핵심단어에서 훈련단어로 전이 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핵심단어는 10번 중 9번 정조음할 수 있는 낱말이고 훈련단어는 핵심단어와 짝지어서 훈련 시키는 단어로서 3번 중 2번은 오조음 하는 낱말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핵심단어에는 훈련단어에서 정조음 할 수 없는 음소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정조음 할 수 없는 음소가 포함된 단어와 정조음 할 수 없는 음소를 포함하지만 정조음 할 수 없는 단어를 연관지어서 훈련하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단어를 음소로 구성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이 방법은 음소와 단어, 문장, 회화 수준까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지도방법은 핵심단어 1개에 훈련단어 10개를 찾아 짝지어서 조음 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단어수준, 문장수준, 회화수준에서 각각 지도하는 방법이 다르다. 단어수준에서는 핵심단어와 훈련단어를 번갈아가며 조음하도록 한다. 문장 수준에서는 핵심단어와 훈련단어가 있는 그림을 통해 ‘(핵심단어) 옆에는 무엇이 있니?’라고 묻고 아동이 ‘(핵심단어) 옆에는 (훈련단어)가 있어요’라고 답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회화 수준에서는 아동이 목표 음소가 있는 단어를 산출할 수 있는 질문을 통해 의사소통하며 답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단어에서 문장, 회화 수준으로 발달하도록 할 수 있다. 

 짝 자극법을 사용할 때 어려운 점은 핵심단어를 찾는 것이다. 오조음하는 음소를 찾았지만 10번 중 9번 정조음 하는 단어가 없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청지각 훈련법, 조음점 지시법, 운동 감각적 기법, 다중음소 접근법 링크

2017/12/25 -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 [의사소통장애] 조음음운장애의 치료법 전통적 접근법 #1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