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음운론
음운론은 말소리의 체계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음운론의 기본 단위는 음운이고 음운은 음소와 운소로 나눌 수 있다. 음소란 분절적 자질을 가진 것으로 자음과 모음이 있다. 운소란 비분절적 자질을 가진 것으로 장단, 억양, 강세 등이 있다.
분절적 자질이란 나눌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말 - 발'이나 '불 - 벌' 과 같이 자음이나 모음의 차이로 명확하게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반면 비분절적 자질은 나눌수 없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말 - 말'과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의미가 달라지지는 않지만 억양이나 강세 등으로 인해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다.
2. 말소리의 분류
말소리는 사람이 말할 때 내는 구체적인 소리를 말하는데 일반 소리와는 다른 점이 사람이 내는 소리라는 것이다. 즉, 말소리는 사람이 발음기관을 통해 내는 음성이다.
말소리는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기 때문에 어떤 발음 기관을 통해 나오는지에 따라 자음과 모음, 무성음과 유성음, 구강음과 비강음, 비지속음과 지속음, 성절음과 비성절음, 분절음과 초분절음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음과 모음은 기류의 흐름에 따라 분류된다. 자음은 기류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방해 받아 산출 되는 소리이다. 반면 모음은 기류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방해 받지 않고 산출되는 소리이다.
둘째, 무성음과 유성음은 성대의 진동 여부에 의해서 분류된다. 무성음은 성대의 진동 없이 산출되는 소리이다. 반면 유성음은 성대가 진동으로 산출되는 소리이다. 국어의 모든 모음은 유성음이다.
셋째, 구강음과 비강음은 기류가 입으로 산출되는지 코로 산출 되는지에 따라 분류된다. 구강음은 기류가 입으로 산출되는 소리로서 대부분의 말소리는 입으로 산출되는 구강음이다. 반면 비강음은 기류가 코로 산출 되는 소리로서 /ㅁ/, /ㄴ/, /ㅇ/ 이 있다. 기류를 입이나 코로 가도록 조절하는 기관을 연인두라고 한다.
넷째, 비지속음과 지속음은 기류의 차단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비지속음은 기류가 완전히 차단되어 산출되는 소리로서 파열음과 파찰음이 있다. 반면 비지속음은 기류가 차단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산출되는 소리로서 마찰음과 유음이 있다.
다섯째, 성절음과 비성절음은 혼자서 음절을 이룰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분류된다. 성절음은 분절음이 하나의 음절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모음이 있다. 반면 비성절음은 분절음이 하나의 음절을 이룰 수 없는 것으로 자음이 있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의사소통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소통장애] 언어의 구조(음운론 - 음소, 음운발달) (0) | 2017.12.16 |
---|---|
[의사소통장애] 언어의 구조(음운론 - 자음의 분류) (0) | 2017.12.15 |
[의사소통장애] 말 언어 산출기관 (0) | 2017.12.12 |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생득주의 이론) (0) | 2017.12.12 |
[의사소통장애] 언어 습득 이론(행동주의) (0) | 2017.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