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 말 언어 산출기관

by drumchoa 2017. 12. 12.
반응형
1. 호흡기관
 호흡기관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이다. 그리고 말의 산출에 있어서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호흡은 들숨과 날숨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중 날숨을 이용해 말을 산출하게 된다. 호흡기관은 각 기관에서 발동하는 것 까지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기관은 폐, 기관지, 흉곽 등을 말하고 발동은 호흡기관에서 말소리에 필요한 기류를 형성하는 작용을 말한다. 즉 폐에서 방출된 공기의 흐름이 성대의 성문을 진동할 수 있는 기압을 형성해 발성 준비를 하는 것이 호흡기관의 역할이다.

2. 발성기관
 발성기관은 음성을 산출하는 기관이다. 발성이란 후두에서 음성을 산출하는 작용이다. 즉 폐에서 방출된 공기가 후두에서 성대를 진동시켜 음성을 산출하는 것이다. 호흡기관이 발성의 준비를 하는 것이고 발성기관은 실제로 음을 내는 것을 말한다. 발성기관은 후두와 성대가 있다.

3. 공명기관
 공명기관은 후두에서 형성된 음성을 증폭, 변경 시키는 역할을 한다. 성대의 진동을 통해 산출된 음성이 성도를 통과해야 공명이 이루어 진다. 공명기관을 성도라고 하는데 성도에는 인두강, 구강, 비강, 순강이 있다. 성도의 어느 영역을 통과 하느냐에 따라 구강음과 비강음으로 나뉘는데 구강음은 비강을 거치지 않고 구강만으로 나오는 소리이고 비강음은 비강을 거쳐서 나오는 소리이다.

4. 산출기관
 산출기관은 조음의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조음기관은 발성된 소리가 공명 과정을 거쳐 증폭, 변형되어 말소리인 음소, 음가를 형성 시키는 기관인데 조음기관의 다양한 움직임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막거나 제약하여 자음과 모음을 형성한다. 산출기관에는 조음기관의 위치가 고정된 부분인 윗입술, 윗니, 치경, 경구개, 연구개, 인두가 있고 이러한 부분을 수동부라 하고 조음기관의 위치가 자유롭게 움직이는 아랫입술, 아랫니, 혀가 있고 이러한 부분을 능동부라고 한다.

5. 심리언어기관
 심리언어기관은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포함하는 기관이다. 이 기관은 말, 언어 과정을 계획하고 명령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