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일반사례 교수법이란
일반사례 교수법은 학습된 기술은 어떤 상황이나 조건에서든 수행이 요구될 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목표로 개발된 전략으로 일반화를 위해 모든 자극과 반응을 이용해 교수하는 방법이다.
일반사례 교수법의 교수는 실제 지역사회에서 교수가 이루어져 지역사회 중심교수의 특징을 가진다.
2. 일반사례 교수법의 단계
일반사례 교수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 : 교수 영역을 결정한다. 교수영역은 다양한 자극과 학습자의 특성, 현재 능력, 교수할 행동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2단계 : 교수 영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자극과 반응을 조사한다. 조사 내용은 첫째, 일반인의 유능한 수행과 관련 있는 일반적인 반응을 조사한다. 둘째, 일반적인 반응을 보이는 자극을 조사한다. 둘째, 일반적인 반응을 보인 자극에 아동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조사한다.
3단계 : 교수 사례와 검사 사례를 선택한다. 선택할 교수 사례는 첫째, 최소한의 사례수를 선택한다. 그 이유는 교수상황에서 모든 자극과 반응을 교수하기 때문이다. 둘째, 긍정 예와 부정 예를 포함해 선택한다.
4단계 : 교수사례를 계열화한다. 계열화 할 때의 고려사항은 첫째, 회기내 모든 기술을 지도하되 다양한 난이도의 예를 사용한다. 둘째, 회기내에 모든 기술을 지도할 수 없다면 다음 지도시 처음부터 연속적으로 지도한다. 셋째, 변별력 향상을 위해 최대한 유사한 긍정예와 부정예를 제시한다. 넷째, 일반적인 예를 먼저 제시하고 예외적인 예를 가르친다.
5단계 : 교수 사례에 대해서 교수한다. 교수를 실시할 때 강화 전략을 사용하면 행동기술의 습득과 일반화에 효과가 있다.
6단계 : 검사 사례에 대해서 검사를 실시한다. 교수한 기술의 일반화를 알아보기 위해 교수하지 않은 검사사례에서 학습자의 수행을 검사한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지적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자기결정) (0) | 2017.12.06 |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부분참여의 원리) (0) | 2017.12.04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지역사회 중심교수) (0) | 2017.12.01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생태학적 목록법) (0) | 2017.12.01 |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최소 위험 가정 기준, 기능적 생활 중심 교육과정) (0) | 2017.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