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지적장애

[지적장애]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인지발달)

by drumchoa 2017. 11. 18.
반응형
1. 발달론
 발달론적 특성은 발달의 지체를 의미한다. 즉, 일반 아동과 같은 같은 순서, 과정을 거치지만 발달의 속도가 느리다고 보는 관점이다.
 발달론의 경우 경도 지적장애 아동에 대해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궁극적인 기능 수준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을 수 있어도 발달 순서와 과정은 일반 아동을 따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것은 경도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내용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경도 지적장애 아동은 주로 발달연령, 정신연령을 고려해 반복 학습을 주로 하게 된다. 반복 학습의 주된 내용은 학생의 생활에서 지금 즉시 필요한 것이 아닌 일반 아동과 동일한 과정이지만 조금 더 낮은 수준의 내용 즉, 아동의 수준에 맞는 내용을 가르치게 된다. 이것은 발달론적 특성에 맞는 교육 방법인 것이다.

2. 차이론
 차이론적 특성은 발달의 차이를 의미한다. 즉, 일반 아동과는 질적으로 다른 인지 발달의 과정을 거친다고 보는 관점이다.
 차이론의 경우 중도 지적장애 아동에 대해 설명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도 지적장애 아동의 발달은 일반 아동과는 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 또한 중도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내용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중도 지적장애 아동의 학습 내용은 생활연령과 흥미에 따라 생태학적 관점에서 그 내용을 선정하는 경우가 많다. 아동이 현재 필요로하고 삶을 살아가는데 앞으로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 아동의 학습내용이된다. 이것은 아동만을 위한 특수하고 특별한 내용으로서 차이론적 특성인 질적으로 다른 발달과정에 맞는 교육 방법인 것이다.

3. 발달론과 차이론
 발달론과 차이론은 어떠한 관점으로 보느냐의 차이일 뿐 어느 것이 맞고 어느 것이 틀리다고 말 할 수 없다.
 다만 두 이론을 통해 우리는 지적장애 아동의 인지 발달이 어떤식으로 이뤄지는지, 이러한 인지발달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어떤 결함을 나타내는지, 이러한 이론을 이용해 지적장애 아동에게 어떻게 수정된 교육을 제공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