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 심리역동적 모델(투사적 기법)

by drumchoa 2017. 9. 27.
반응형
 투사적 기법이란 중성자극을 제시하고 아동의 반응을 수집해 해석하는 방법이다.

 중성자극을 제시하는 이유는 아동이 중성 자극에는 왜곡 없이 투사하는 점을 사용한 것이다. 


 투사적 기법 사용시 주의점은 알고 싶은 것, 궁금한 것, 아동의 정서행동과 관련된 것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질문을 해서는 안된다. 또한 아동이 항목, 내용, 정서 등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서도 안된다.


 투사적 기법의 종류는 로르샤흐 검사, 아동용 주제 통각 검사, 문장완성 검사, 인물화 검사, HTP검사 등이 있다. 

 첫째, 로르샤흐 검사는 잉크반점 카드를 보여주며 아동이 자발적으로 표현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피검자의 현실의식, 자아개념, 정서 및 대처기제 등을 평가한다.

 둘째, 아동용 주제통각검사는 10장의 동물카드를 이용하여 아동이 자신의 생각, 감정을 자유롭게 스토리텔링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셋째, 문장완성검사는 미완성 문장을 제시하고 아동 자신의 언어로 완성하게 하는 방법이다. 아동이 언어를 완성할 때는 단답형이나 OX형의 답이 아닌 맥락에 맞는 어떠한 것이든 써도 괜찮다.

 넷째, 인물화 검사는 인물을 그리는 것으로 인물은 자기 자신이고 종이는 환경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물화 검사에서는 자기 자신의 자아개념 투사뿐 아니라 환경에 대한 투사도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HTP검사집, 나무, 사람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그림으로써 아동이 알지 못하는 내부의 정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