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애착이란?
출생 초기 영아와 양육자간 형성되는 정서적 유대감을 말한다. 이러한 애착은 아동이 성장한 후 정서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애착에는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이 있다.
2. 안정 애착
안정 애착시 양육자는 아동에게 필요가 생기면 민감하게 반응해 아동의 필요를 충족해 주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양육자의 반응을 경험한 아동은 양육자를 신뢰하고 자신의 안전 기지로서 생각하게 되고 학습 상황에서 아동은 흥미 있고 호기심 있는 모습을 보이고 높은 성취를 이를 수 있다.
3. 불안정 애착
불안정 애착은 회피 애착, 저항 애착, 혼란 애착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애착마다 양육자의 태도와 아동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첫째, 회피 애착시 양육자의 태도는 스킨십을 하지 않고 화를 내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양육자의 반응을 경험한 아동은 친밀감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고 아동은 자기 표현을 억제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고 겉도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둘째, 저항 애착시 양육자의 태도는 긍정적인 반응을 하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양육자의 반응을 경험한 아동은 관심이나 요구, 과장된 의사표현을 하게 되는데 이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을 모두 받아 봤기 때문에 긍정적인 반응을 받기 위해 하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하지만 긍정적인 반응을 받지 못 할 경우 쉽게 화를 내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게 된다.
셋째, 혼란 애착시 양육자의 태도는 경제적 어려움이나 우울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양육자의 반응을 경험한 아동은 양육자에 대해 위안의 대상인지 불안의 대상인지 판단하지 못하고 혼란 상태에 빠지게 되고 아동은 낮은 사회성을 보이거나 적대적인 모습을 보이게 된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정서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행동장애] 심리역동적 모델(투사적 기법) (0) | 2017.09.27 |
---|---|
[정서행동장애] 훈육 (0) | 2017.09.27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요인(생물학적 요인)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교육적 분류(내재화 요인, 외현화 요인), 장애의 공존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체계적 선별(SSBD, 다관문 절차) (0) | 2017.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