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물학적 요인은 기질적, 환경적 영향으로 지적, 감각운동적, 신체적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거나 적절한 사회관계를 형성, 유지하지 못하고 일상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장애의 원인이 개인 내적인 측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의료적 모델이다.
원인은 유전적 요인, 신경학적 요인, 기질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유전적 요인은 장애의 원인이 가족, 친척 등의 유전으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고, 신경학적 요인은 신경조직이나 뇌의 구조에 문제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다. 기질 요인은 성격의 토대가 되는 심리적 특성으로 인한 것이라 보는 입장이다. 유전과 신경학적인 요인의 경우 의학적 영역이라 중요하지 않지만 기질 요인의 경우 중요하게 볼 부분이 있다.
1. 기질이란
기질이란 앞서 말한 것처럼 성격의 토대가 되는 심리적인 특성을 말한다. 이러한 기질은 9가지 특성이 있다.
2. 기질의 특성
기질의 특성은 규칙성, 활동 수준, 적응성, 반응 역치, 반응 강도, 접근 및 회피, 기분의 질, 주의 산만, 지속성이 있다.
규칙성은 생체학적 리듬이 규칙적인가를 말한다.
활동 수준은 활동 중 움직임을 말하는데 활동 중 움직임이 많으면 부정적으로 본다.
적응성은 새로운 자극에 잘 적응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반응 역치는 자극의 양이 얼마나되야 반응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반응 강도는 자극에 얼마나 강하게 반응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접근 및 회피는 새로운 자극이 주어졌을 때 접근 하는지 회피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기분의 질은 긍정적인 기분인지 부정적인 기분인지에 관한 것이다.
주의 산만은 외부 자극에 얼마나 쉽게 산만해지는지에 관한 것이다.
지속성은 활동을 포기하지 않고 얼마나 지속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3. 9가지 특성에 따른 기질 유형
기질 유형은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느린 기질이 있다.
첫째 순한 기질은 규칙적인 모습을 보인다. 아동의 특성은 규칙성과 적응성이 높은 모습을 보인다.
둘째 까다로운 기질은 불규칙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새로운 환경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 아동의 특성은 규칙성, 지속성, 반응 역치가 낮고 주의가 산만하며 활동성과 반응 강도가 높은 모습을 보인다.
셋째 느린 기질은 느리지만 결국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는 기질이다.
위의 세 가지 기질 중 까다로운 기질이 정서행동장애로 나타날 위험이 높다. 하지만 이는 기질만의 문제가 아닌 기질과 양육환경의 복합적인 문제로 봐야한다.
기질과 양육환경의 관계에 대해 조화의 적합성 모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좋고 나쁜 기질은 없다. 부모가 아동의 기질을 잘 이해하고 그에 맞는 양육 방식을 사용하면 아동의 성격은 올바르게 형성되고 발달할 것이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정서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행동장애] 훈육 (0) | 2017.09.27 |
---|---|
[정서행동장애] 애착 (0) | 2017.09.26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교육적 분류(내재화 요인, 외현화 요인), 장애의 공존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체계적 선별(SSBD, 다관문 절차)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및 특성 (0) | 2016.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