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다학문적 팀 접근
다학문적 팀 접근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평가하고 중재를 실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모든 전문가들이 독립적으로 일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상 전혀 협력을 하지 않는 방법이다.
다학문적 팀 접근의 장점은 하나 이상의 전문 영역이 참여하여 다양한 전문성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학문적 팀 접근의 단점은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를 하지만 서로 의사사통하지 않아 중재를 위한 통일된 접근이 어렵다는 점이다.
2. 간학문적 팀 접근
간학문적 팀 접근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공식적인 경로를 통해 의사소통하는 방법으로서 자신의 분야에 관련된 진단과 평가만 실시하지만 서로 만나서 정보를 교환하고 중재를 계획하는 방법으로 가족도 팀의 구성원으로 참여하지만 가족의 의사만 반영하고 주도적인 의사결정은 전문가들이 한다.
간학문적 팀 접근의 장점은 중재를 계획할 때 정보를 교환하기 때문에 하나로 통일된 서비스를 계획할 수 있다는 점과 활동목표와 교육목표가 다른 영역을 보충하고 지원한다는 것이다.
간학문적 팀 접근의 단점은 서비스 대표자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지만 대부분 대표자의 역할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역할 수행에 독단적인 경우가 많고 전문가들의 고집에 의해 협력이 어려울 수 있다.
3. 초학문적 팀 접근
초학문적 팀 접근은 통합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진단 평가를 하고 분야를 초월해 정보와 전문지식을 나누고 중재를 계획하고 실시하는 것에 대해 공동으로 의사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다학문적 팀 접근과 간학문적 팀접근과 다른 특징은 모든 인원이 함께 참여 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고 아동의 발달을 통합적인 견해로 바라볼 수 있으며 가족의 동등한 참여를 통해 가족의 선택을 우선으로 할 수 있다.
초학문적 팀 접근의 장점은 다양한 전문 영역간에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종합적이고 통일된 중재를 제공할 수 있고 역할을 서로 공유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초학문적 팀 접근의 단점은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의 참여가 필요하고 전문가들이 서로 고도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해야한다. 또한 서비스 대표자에게 큰 책임이 주어질 수 있다.
초학문적 팀 접근은 원형진단과 역할 전이를 통한 역할 방출이 핵심이다.
먼저 원형 진단은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동시에 대상 아동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역할 전이는 단계에 따라서 역할 방출로 이어지게 되는데 원형 진단을 통해 진단한 아동에게 서비스 대표자가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역할 전이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 확대는 자신의 전문영역에 대한 전문성 및 기술 향상을 위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둘째, 역할 확정은 자신의 전문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을 배우는 것이다.
셋째, 역할 교환은 전문가의 감독하에 다른 영역의 중재를 실시하는 것이다.
넷째, 역할 방출은 새롭게 배운 다른 영역의 기술을 전문가의 감독 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다섯째, 역할 지원은 높은 전문 기술이 필요해 서비스 대표자가 실시하기 어려운 경우 그 영역의 전문가가 직집 지원하는 것이다.
반응형
'John' Special Edu > 통합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합교육] 협동학습(팀 경쟁학습TGT, 팀 보조 개별학습TAI) (0) | 2016.11.29 |
---|---|
[통합교육] 협동학습(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집단조사GI)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동학습(팀성취 분담 학습STAD, 과제 분담 학습JIGSAW) (0) | 2016.11.28 |
[통합교육] 협력교수(평행교수, 대안교수, 팀티칭) (0) | 2016.10.29 |
[통합교육] 협력교수(교수 지원 모형, 스테이션 교수) (0) | 2016.10.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