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장특법에 나타난 정서행동장애의 정의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1) 지적, 감각적, 건강상의 이유로 설명할 수 없는 (학습상의 어려움을 지닌 사람)
2) 또래나 교사와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
3) 일반적인 상황에서 부적절한 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4) 전반적인 블행감이나 우울증을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5) 학교나 개인 문제에 관련된 신체적인 통증이나 공포를 나타내어 (학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2. 정서행동장애의 특성
정서행동장애 학생은 내적 행동과 외적 행동, 주의력 결함, 인지 및 학습적 특성, 사회기술의 결함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1) 내적 행동의 특성은 불안, 우울감을 보이거나 혼자놀기, 또래와의 상호작용 저하 등 사회적 고립의 모습을 보입니다.
2) 외적 행동의 특성은 규칙파괴, 불복종, 언어적 신체적 공격성의 모습을 보입니다.
3) 주의력 결함의 특성은 계속적인 집중이나 정신적 노력이 필요한 과제를 피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4) 인지 및 학습적 특성은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수업 방해, 충동적 행동을 보입니다. 이로인해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게 됩니다.
5) 사회적 기술의 결함 특성은 사회적 기술의 결함, 사회적 기술 수행의 결함, 사회적 기술의 유창성 결함의 세가지 유형을 보이는데 각각의 유형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사회적 기술의 결함은 적절한 사회적 기술을 학습하지 못한 경우입니다. 둘째, 사회적 기술 수행의 결함은 사회적 기술을 학습했지만 수행을 못하는 경우 입니다. 셋째, 사회적 기술의 유창성 결함은 사회적 기술을 수행할 때도 있고 하지 않을 때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사회적 기술을 학습할 때 적절한 행동의 연습을 못했거나 피드백 받지 못한 경우 입니다.
'John' Special Edu > 정서행동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행동장애] 훈육 (0) | 2017.09.27 |
---|---|
[정서행동장애] 애착 (0) | 2017.09.26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요인(생물학적 요인)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정서행동장애의 교육적 분류(내재화 요인, 외현화 요인), 장애의 공존 (0) | 2017.09.24 |
[정서행동장애] 체계적 선별(SSBD, 다관문 절차) (0) | 2017.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