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화의 개념
강화란 어떠한 행동 뒤에 강화물을 제공해서 그 행동의 발생 빈도를 증가 시키거나 유지 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강화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정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바람직한 자극을 제공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전략이다. 부적 강화란 어떠한 행동에 대해 혐오 자극을 제거해서 행동을 증가 시키는 것을 말한다.
강화는 강화물의 제공과 회수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 시키기 위해 강화물을 사용하는데 강화물에는 일차적 강화물과 이차적 강화물로 나눌 수 있다. 일차적 강화물은 학습되지 않는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강화자극으로서 음식, 음료 등의 먹는 것과 관련된 강화자극과 휴식, 취침 등의 감각적 강화자극이 있다. 이차적 강화물은 학습된 강화자극으로서 중립 자극이 일차적 강화물과 연결돼서 강화물의 역할을 하는 자극을 말하는데 종류는 칭찬, 머리 쓰다듬기 등 아동을 인정해주는 사회적 강화제와 숙제 면제나 놀이 활동 제공 등 좋아하는 활동이나 임무를 제공하는 활동 강화제와 선물 등의 물질 강화제, 토큰이나 점수 등의 일반화된 강화제로 나눌 수 있다.
2. 연속적 강화 계획과 간헐적 강화 계획
강화계획에는 연속적 강화 계획과 간헐적 강화 계획이 있다.
연속적 강화 계획이란 표적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계속 적으로 강화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동에게 강화포만이 나타나 강화물이 더이상 강화물의 역할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강화 중단시 소거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헐적 강화 계획은 계획에 따라 일부 반응에만 선택적으로 강화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간격 강화, 비율 강화, 지속시간 강화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간격 강화는 고정 간격 강화와 변동 간격 강화로 나눌 수 있다. 고정 간격 강화는 정해진 시간 간격이 지난 후 첫번째 반응에 강화하는 방법으로서 한명의 교사가 여러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아동이 정해진 시간 간격을 눈치채게 된 경우 강화 직전에만 반응을 하고 강화 후에는 반응하지 않는 고정간격 스켈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변동 간격 강화는 아동이 정해진 시간 간격을 눈치 채지 못하게하기 위해 시간 간격을 무작위로 변화를 줘서 첫번째 반응에 강화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고정 간격 스켈럽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지만 교사가 무작위로 변하는 시간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둘째, 비율 강화는 고정 비율 강화와 변동 비율 강화로 나눌 수 있다. 고정 비율 강화는 표적행동이 정해진 수만큼 발생했을 때 강화하는 방법으로서 표적행동의 발생 비율을 높일 수 있지만 아동이 정해진 비율을 채우기만 하는 부적절한 유창성이 나타날 수 있고 정해진 비율을 채우고 그 행동을 하지 않는 강화 후 휴식기가 나타날 수 있다. 변동 비율 강화는 표적행동의 수를 무작위로 정해서 그 수만큼 발생했을 때 강화하는 방법으로서 표적행동의 비율이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유창성이나 강화 후 휴식기를 방지할 수 있지만 많은 아동을 대상으로 동시에 실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셋째, 지속시간 강화는 고정 지속시간 강화와 변동 지속시간 강화로 나눌 수 있다. 고정 지속시간 강화는 표적행동을 정해진 시간동안 지속하면 강화하는 방법으로서 실행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요구하는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강화 후 휴식기도 같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변동 지속시간 강화는 지속하는 시간에 대해 무작위로 변화를 주는 방법으로서 강화 후휴식기를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지만 지속시간에 변화를 주었을 때 시간을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John' Special Edu > 문제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행동연쇄 (0) | 2015.11.26 |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행동형성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집단강화체계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대체기술교수 (0) | 2015.10.09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 개념 및 선행 배경 사건 중재 (0) | 2015.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