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긍정적 행동지원의 개념
긍정적 행동지원은 문제행동의 이유와 가설에 따라 아동 개인의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배경에 적합하고 종합적인 문제해결 접근 방법이다. PBS는 문제행동을 감소 시키고 아동의 건강과 안전을 증진시키며 사회적 기술 향상 및 지역사회로의 성공적 참여를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선행 / 배경사건 중재
먼저 용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선행사건이란 문제행동을 일으킨 환경적 사건이나 상태, 자극을 말한다. 배경사건이란 문제행동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환경적 사건이나 상태, 자극을 말한다.
선행 / 배경사전 중재는 문제행동을 수정, 제거 시키고 긍정적 선행 / 배경사건을 도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각각의 중재를 살펴보면 선행사건 중재는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선행사건을 변화시키는 것이고, 배경사건 중재는 문제행동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높이는 배경사건을 수정, 제거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재의 장점은 예방적이고 신속하게 문제행동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학생에게 개선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선행 / 배경사건 중재는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적용 되는 것이지 대체기술을 습득하게 되면 선행 / 배경 사건 중재는 소거되어야 한다.
중재 유형은 환경, 과제에 따른 중재 유형과 기능에 따른 중재 유형이 있다. 먼저, 환경, 과제에 따른 중재유형은 환경적 선행사건 수정과 과제 관련 선행사건 수정이 있다. 환경적 선행사건 수정의 방법은 가구배치, 시간표, 자리재치 등 환경적 자극을 변화 시킴으로서 중재하고, 과제관련 선행사건 수정의 방법은 기능적이고 쉬운 과제 등을 부여함으로서 과제 관련 자극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기능에 따른 중재유형은 아동의 행동의 기능적 유형에 따라 분류한다. 행동은 관심끌기 관련, 구체물 얻기 관련, 감각적 기능 관련, 회피 기능 관련의 4가지로 분류하는데 첫째, 관심 끌기 관련 행동을 하는 아동에겐 계획된 관심을 제공하거나, 교사와 근접한 곳에 아동이 위치하도록 해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구체물 얻기 관련 행동을 하는 아동에겐 물건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아동이 구체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미리 예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셋째, 감각적 기능 관련 행동을 하는 아동에게는 대체자극을 제공하거나, 긍정적인 감각인 경우 감각을 얻을 수 있는 풍부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회피 기능 관련 행동을 하는 아동에게는 과제의 난이도나 길이, 수행 양식을 수정해 주거나 활동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아동의 선호도나 흥미를 활용하해 기능적이고 의미있는 활동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측 가능성을 증진시키고 교수 전달 방법을 수정 하는 것도 아동의 회피 행동을 중재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John' Special Edu > 문제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행동연쇄 (0) | 2015.11.26 |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행동형성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집단강화체계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강화 (0) | 2015.10.11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대체기술교수 (0) | 2015.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