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동연쇄의 정의
행동연쇄는 하나의 표적행동을 과제분석을 통해 하위과제로 나누고 이 하위과제를 하나씩 누가적으로 연결해서 강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하위과제 전체가 목표가 되기 때문에 각 하위과제는 최종목표에 도달하여도 없어지면 안된다. 또한 각 단계의 반응은 다음 단계의 자극으로서 앞의 반응에 대한 강화제 역할을 하고 후속 반응에 대한 식별자극이 된다. 예를 들어 1단계에서 자극(A)와 반응(B)가 2단계에서는 자극(A)와 반응(C)가 되고 3단계에서는 자극(C)가 반응(D)가 된다는 것이다.
2. 행동연쇄의 유형
행동연쇄는 전진형 행동연쇄, 후진형 행동연쇄, 전체과제 제시법이 있다.
첫째, 전진형 행동연쇄란 과제분석을 통한 하위과제들을 처음 단계부터 순서대로 가르치는 방법으로서 각 단계의 수행을 성공할 때마다 조작적 강화를 제공하고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자연적으로 강화가 제공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콜라는 좋아하는 아이에게 콜라를 혼자 먹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서 콜라를 냉장고에서 꺼내 먹는 것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하위과제로 나누었다. '1. 냉장고를 연다, 2. 콜라를 꺼낸다, 3. 콜라의 입구를 열고 콜라를 마신다.' 이 하위 과제에 따라 1, 2번의 각 과제를 수행하면 조작적 강화가 제공 된다.(칭찬) 그 후 3번의 과제를 성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콜라가 제공되는 것이다.
둘째, 후진형 행동연쇄란 과제 분석을 통한 하위과제들을 마지막 단계부터 역순으로 가르치는 방법으로서 처음 훈련할때는 마지막 단계를 제외하고 모든 단계를 교사가 해주고 학생은 마지막 단계의 행동만 수행하게 된다. 다음 훈련에서는 마지막 이전단계와 마지막 단계를 제외하고 모든 단계를 교사가 해주고 학생은 마지막 이전 단계와 마지막 단계의 행동만을 수행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방법은 마지막 단계를 항상 거치기 때문에 학생은 항상 자연적인 강화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앞의 콜라를 인용해서 예를 들면 처음 훈련할때 1,2번은 교사가 해주고 학생은 3번만 수행한다. 다음 훈련에서 1번은 교사가 해주고 학생은 2, 3번을 수행한다. 이때 각 훈련시 마지막 단계를 항상 거치기 때문에 콜라라는 자연적인 강화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셋째, 전체과제 제시법이란 과제분석을 통한 하위과제를 순서대로 모두 가르치는 방법을 말하는데 각 단계의 일부를 이미 수행 할 수 있으나 순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좋은 방법이다.
3. 행동연쇄의 성취수준 평가
행동연쇄의 성취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은 단일회기 방법과 다 회기 방법이 있다. 단일 회기 방법이란 표적행동의 하위과제를 순서대로 수행하는 능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 8단계중 5단계를 수행하지 못하면 6, 7, 8단계는 못한다고 가정하고 측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다 회기 방법이란 모든 하위 과제에 대해 학습자의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 8단계중 5단계를 수행하지 못하여도 6, 7, 8단계를 계속 측정하게 된다.
'John' Special Edu > 문제행동수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토큰경제, 행동계약) (1) | 2016.11.23 |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촉진과 용암) (0) | 2016.11.23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행동형성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집단강화체계 (0) | 2015.11.15 |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 - 강화 (0) | 2015.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