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ohn' Special Edu/문제행동수정

[문제행동수정]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촉진과 용암)

by drumchoa 2016. 11. 23.
반응형
1. 촉진

 촉진은 아동이 자극에 대해 바람직한 반응을 보이지 못했을 경우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도와주는 부가적인 자극이다. 예를들어 아동이 주어진 과제의 수행방법을 모르거나, 어려워 하는 경우 필요한 만큼의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촉진은 자극 촉진과 반응 촉진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자극 촉진이란 변별 자극을 변화 시키거나 증가시켜 변별자극에 대한 단서를 주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아동이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자극에 변화를 주거나 추가적인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한다. 자극 촉진은 자극내 촉진과 가외 자극 촉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자극내 촉진은 변별 자극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위치, 크기, 모양, 색깔 등에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가외 자극 촉진은 다른 자극을 추가하거나, 변별자극에 대한 단서를 주는 것으로서 자극에 스티커를 붙이거나 자극과 그림제시 하기 등을 말한다.

 다음으로 반응 촉진이란 변별 자극에 바람직한 반응을 하도록 다른 사람이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아동이 올바로 반응 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이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반응 촉진은 모델링, 몸짓 촉진, 언어적 촉진, 시각적 촉진, 신체적 촉진, 환경적 촉진, 혼합된 촉진 등이 있다.


2. 용암

 용암은 변별자극 외에 부가적으로 주어진 자극을 점차 조절해서 변별자극 만으로 반응할 수 이게 하는 것으로 도움을 점진적으로 감소 시키는 것을 말한다.

 용암은 최소-최대 개입촉진(도움 증가법), 최대-최소 개임촉진(도움 감소법), 점진적 안내, 시간 지연으로 나눌 수 있다.

 최소-최대 개입촉진은 아동이 바람직한 반응을 보일 때까지 축진의 양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서 먼저 도움 없이 목표과제의 수행을 요구 후 오반응 시 촉진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최대-최소 개입촉진은 바람직한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최대한 촉진을 제공한 후 점차 그 양을 줄이는 것으로서 새로운 행동 습득을 위해 처음 시작부터 촉진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점진적 안내란 물리적 촉진을 제공한 후 점차 그 양을 줄이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행동을 완성하도록 손으로 촉진

해주는 전체과제 제시법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시간 지연은 촉진 없이 반응이 나타나게 하기 위해 촉진이 지연되어서 제공되는 것을 말한다. 시간 지연은 동시 촉진(0초 시간 지연), 고정 시간지연(일정 시간 지연), 점진적 시간 지연(진행 시간 지연)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동시 촉진은 반응 지연 시간을 주지 않고 반응 요구와 동시에 촉진도 함께 제공하는 방법이다. 둘째, 고정 시간 지연은 몇 번 동시 촉진을 제공하여 목표행동을 하도록 한 후 반응 요구에서 촉진 제공까지 시간을 짧게 지연 시켜주는 방법을 말한다. 셋째, 점진적 시간 지연은 몇 번 동시 촉진을 제공하여 목표행동을 하도록 한 후 반응 요구에서 촉진 제공까지 시간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방법을 말한다.



반응형

댓글